“박근혜는 역사 퇴행…안철수와는 힘 합칠 것”
문 상임고문은 이날 관훈클럽 주최로 열린 서울 프레스센터 초청토론회에서 박 전 위원장 보다 낮은 지지율이 당 대선 후보로 확정되면 극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저는 이제 막 시작했고 우리는 후보들이 분산돼 있다. 민주당 후보로 선출되는 순간 그 분 (박근혜) 지지를 넘어서 압도하게 될 것”이라며 “그 분의 역사인식이 너무나 퇴행적”이라고 비판했다.
문 고문은 또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책이 파탄났다는 것이 드러난 시기에도 (박 전 위원장은) 여전히 ‘줄푸세’를 소신으로 주장하는데 경제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방책일지 회의적”이라고 지적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연대를 묻는 질문에는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합쳐야 할 관계에 있고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확신했다. 만약 안 원장과 후보단일화 경선을 치를 경우 자신이 당내 기반을 강점으로 승리를 예단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안 원장이 혹여 후보단일화에 나선다면 국정 경험이 없고 정당지지 기반을 갖지 못한 것이 경선 패배 요인이 될 것이라고 꼽았다.
당내 경선 최대 경쟁자로는 김두관
‘리틀 노무현’에 탈 친노를 표방하며 유력한 경선 대항마로 부상하고 있는 김두관 경남지사에 대해선 “거의 같은 지지기반을 놓고 경쟁하니까 제게 가장 부담이 되는 경쟁자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문 고문은 “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쟁이 훨씬 재밌고 역동적으로 될 것이라 예상한다”고 기대하면서도 김 지사의 지사직 사퇴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김 지사의 사퇴가 경남도민에게 큰 실망을 주고 대선 때 경남에서 지지를 받는 것에 어려움을 줄지도 모른다는 이유에서다.
또 자신을 친노(친노무현) 주자로 분류하는 것에는 “저는 친노가 확실하고 친노라는 딱지를 떼고 싶지도 않다”며 김 지사와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아울러 친노-비노로 갈라놓는 프레임을 두고선 “우리를 분열시키려는 허구의 프레임”이라며 반발했다.
이외에도 정치 및 국정경험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참여정부 (청와대) 비서실에서 거쳤던 국정경험이야말로 저만의 강점이라고 자부한다”며 “어떤 면에서는 대통령보다 비서실장이 국정의 훨씬 많은 면을 접하고 다닌다”고 일축했다.
북한 3대세습-북핵 입장-남북정상회담 문제
대북 문제와 관련해선 3대 세습 자체가 현대 민주주의 관점에서 맞지 않고, 전근대적인 행태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대화상대로 인정하는 것은 필요하다”며 새로운 정부 첫 해에 곧바로 10ㆍ4 공동선언 이행부터 논의하는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정상회담도 해마다 정례적으로 공동번영을 추구하는 관계로까지 발전할 수 있도로 개최해야 한다며 유화적인 자세를 취했다.
반면 북핵 문제는 “어떤 경우에도 용인돼선 안되고 지금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요구하는데 그 지위도 인정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천안함 사태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정부의 발표를 존중한다”면서 한편으론 금강산 관광은 반드시 재개돼야 한다며 다소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통진당 야권연대-이석기 부정경선 종북문제
문 고문은 올 대선에서 야권연대의 걸림돌로 통합진보당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느냐 여부에 달렸다고 했다. 그는 “야권연대가 국민 지지를 얻는데 도움이 되면 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안하는 것이다. 진보당이 당내 쇄신을 이뤄낼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통진당 이석기 의원을 종북주의자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게 단정할 만한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문제삼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면서도 “비례대표 후보 선출과정의 부정이 확인된다면 그것만으로도 의원 자격이 문제될 수 있다”고 직시했다.
이석기 의원의 애국가 부정 발언과 관련해선 “애국가는 국가가 아니라든지 하는 이야기를 보면 대중정치인으로서 자세도 문제가 있다”고 언급했다.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