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오는 9월 말로 예정된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에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당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대체적으로 국민참여경선 보다는 완전국민경선 쪽으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통합당은 이날 대선기획단 3차 회의에서 대선경선 방식과 관련한 최종 결정은 유보했다. 추 최고위원은 “완전국민경선 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논의를 면밀히 하고, 더 신중히 결정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추 최고위원은 2002년 국민참여 경선 방식을 거론하며 “당시 160만명의 국민들이 (경선 참여를) 신청했지만, 최종 투표권을 가진 분은 3만명, 2.1%로 주택복권에 당첨되는 것보다 어려웠다”면서 “(대선기획)위원들 사이에서 완전국민경선제에 대한 논의가 더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모바일투표와 관련해 “1, 2차 기획단 회의에서 일반 시민의 참여를 확대하는 모바일경선제에 대해서 논의했다”며 긍정적인 뉘앙스를 풍긴 뒤 “대선경선 방식은 정당의 기득권을 깨나가는, 정당·정치 혁명 틀 안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바일투표를 통한 완전국민경선제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내달 25일까지 대선후보자 선출 경선 방식을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조기성 기자 kscho@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