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신문과 MBN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26일 내놓은 여론조사 결과 대선주자 양자대결에서 안 원장과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은 각각 43.8% 대 45.8%로 2.0%p 차를 기록했다.
앞서 동일한 매체와 조사기관에서 2주전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양자 격차는 박근혜 50.6% 대 안철수 43.1%로 7.5%p 격차였던 것과 비교하면 5.5%p로 간극을 크게 뛰어넘어 좁힌 셈이다. 이는 안 원장의 지지율이 상승한 것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박 전 위원장이 상대적으로 그만큼 추락한 것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 하락 요인에 대해 당내 대선 경선룰로 비박 대선주자들의 비판과, 1인 사당화 독재 이미지가 겹친 데다 거세지는 야당 공세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박 전 위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양자대결에서도 앞서 실시한 조사에 비해 지지율 격차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번 조사에서 박근혜 51.3%, 문재인 39.9%로 양자 격차는 11.4%P. 2주전 여론조사에선 문 고문은 36.9%, 박 전 위원장이 54.9%로 격차가 18.0%p였던 것을 감안하면 불과 보름 사이6.6%p로 추격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손학규 민주당 상임고문은 박 전 위원장과의 양자대결에서 여전히 상당한 격차를 드러냈다. 박근혜 59.9% 대 손학규 29.4%였다. 김두관 경남지사 역시 마찬가지였다. 박근혜 62.1% 대 김두관 23.1%를 기록했다.
현 추세로 볼 때 새누리당에서 흥행을 무시한 ‘박근혜 추대론’이 가시화되면서 비박 대선주자들의 반발과 비난은 앞으로 더 격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민주당 내 대선주자들의 잇단 출마 선언이 예정돼 있어 치열한 각축 속에 후보 선출도 한껏 고조될 분위기다.
민주당이 대선 경선으로 국민적 시선을 끌어모아 후보를 선출하고 안철수 원장와 막판 단일화까지 염두에 둔다면 박 전 위원장에게 적지 않은 타격을 입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국회 개원이 지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민심은 야당보다 여당의 잘못이 크다고 받아들이는 응답이 많았다. 또 국정감사와 청문회 요구도 ‘야당의 주장대로 국정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52.1% 였던것에 반해 ‘정치 공세’라는 지적은 37.3%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2~23일 이틀간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를 통한 RDD(임의번호걸기)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