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성남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3일 오전 베이징(北京) 외교부 청사에서 중국 측 카운터파트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와 회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합의했다.
이번 회담에서 중국 측은 “핵실험을 포함한 여러 행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해 북한을 제어하는데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중국 측은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강행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인 증거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이런 입장은 그동안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브리핑, 추이톈카이(崔天凱)․청궈핑(程國平) 외교부 부부장의 언급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 반대를 밝힌 데 이어 나온 것이다. 특히 북한의 제3차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간 중국은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태롭게 하는 행위는 당사국들은 물론 중국의 국가안보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며 강한 거부감을 표시해왔다.
과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온 중국이 최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패 이후 북한을 비난하는 유엔 성명에 동참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결론적으로, 중국은 북한에는 핵실험 등의 추가도발 가능성을, 한·미·일 등의 주변국에는 한반도 긴장 고조 행위를 하지 말라는 양면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번 회담에서 중국 측은 한·미 양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국제사회의 ‘북한 핵실험 저지 외교’에는 합류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eb8110@ilyoseoul.co.kr
고은별 기자 eb811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