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과 최성 고양시장은 2월 오전 11시 고양시 현전동 난지물재생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시-고양시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체결했다.
두 시가 공동합의문을 채택함에 따라 고양시는 그동안 96만 고양시민의 숙원이었던 기피시설 문제를 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서울시와 고양시 간의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의 골자는 ▲고양시민의 시설 이용 시 서울시민과 동등한 혜택 부여 및 고양시민 우대 채용 ▲도로확장 및 대중교통 편의증진 등 주민불편사항 해소 노력 ▲기피시설의 현대화 등 환경개선 중장기 추진 ▲그밖에 주민 요구사항의 적극 반영 노력 등이다.
고양시는 서울시와 함께 합의한 사항이 성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현재 양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T/F팀을 확대 개편 운영하여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서울시가 추진하는 난지물재생센터의 환경개선과 고도처리시설사업 관련 ‘개발제한구역과 도시관리계획 수립·변경’ 과정에 대해 행정적으로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이런 서울시와 고양시 간의 원칙적인 공동합의에 따라 기피시설 주변 지역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을 위해 장사시설인 서울시립승화원 내 부대시설 운영권 이양과 기피시설 지역 주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민 우선적 채용은 이미 실행에 옮겨졌으며, 환경시설인 난지물재생센터의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난지물재생센터 악취 저감 등 환경개선용역(3억5000만 원), 악취모니터링 전광판 설치(3억 원) 등 예산을 서울시에 요구하여 반영하였으며, 올해 말까지 용역사업이 완료된 후 중장기적으로 현대화·공원화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그동안 고양시에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장사시설인 서울시립승화원, 서울시립묘지와 환경시설인 난지물재생센터의 하수·분뇨처리시설, 음식물류쓰레기 처리시설, 재활용쓰레기 분리시설 등이 소재해 지역주민들의 고통이 이어져왔다.
이에 고양시는 ‘기피시설로 인한 지역 피해규모 산정 및 보상대책 등에 관한 용역’을 실시하여 기피시설로 인한 지역 피해를 객관적으로 산정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서울시와 협의해 왔다.
그러나 협상 초기 난항에 빠지면서 난지물재생센터 내 불법시설물에 대해 행정대집행 영장 교부라는 초강도 조치를 실시하기도 했다. 또한 고양시민이 주도하는 범시민대책위원회가 구성되고, 고양시의회 차원의 주민기피시설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주민 기피시설 문제해결을 위한 서울시청 앞 1인시위와 함께 고양시민 서명운동을 실시하여 96만 고양시민 중 50여만 명이 참하는 성과를 낳기도 했다.
서울시도 고양시의 요구에 그동안 무관심으로 일관하다 태도가 전향적으로 바뀌며 양 시의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T/F팀을 구성하여 본격적인 협상을 추진해 왔다. 이 과정에서 박 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협상은 급물살을 타게 돼 50여 차례 넘는 논의를 지속해 오다 공동합의문을 체결이란 결과를 낳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공동합의문 체결식에서 “서울의 성장은 지방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서울과 지방은 하나이고 상호의존적이며 향후에도 고양시와 주민들의 요청사항에 귀를 기울여 시설물 주변지역 주민들이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잇도록 지웒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성 고양시장 또한 “40년 동안 고양시민들의 한 맺힌 숙원사업인 주민기피시설 문제를 해결하게 되어 참으로 기쁘다”며 “이 모두가 96만 고양시민들의 단합된 힘의 결과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시장은 “앞으로 꾸준히 기피시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양시와 서울시 자치단체 간 상생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와 고양시 간의 기피시설 문제가 해결 실마리를 찾으며, 서울시와 인천시와의 수도권 매립지 문제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지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게 됐다.
jun6182@ilyoseoul.co.kr
전수영 기자 jun6182@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