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전문가, "전자전 능력은 북한이 우리보다 우위"

북한은 지난달 23일 인민군 최고사령부 특별작전행동소조 이름을 걸고 “우리 혁명무력의 특별행동이 곧 개시된다”며 “3~4분, 아니 그보다 더 짧은 순간에 지금까지 있어본 적이 없는 특이한 수단과 우리식의 방법으로 불이 번쩍 나게 초토화해버리게 될 것”이라고 도발을 예고해 국내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이에 대해 김종대 <디펜스21플러스> 편집장은 지난달 25일 [일요서울]과 만난 자리에서 “3~4분이면 미사일 발사도 가능한 시간”이라며 “결과적으로 서울을 불바다로 만든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김 편집장이 말한 미사일은 북한의 신형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인 KN-02다. 김 편집장은 “북한이 주로 과시하는 미사일이며, 3~4분 만에 신속발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겨냥한 장사정포는 초탄사격까지 30분 이상이 소요되지만 이후 발사는 3~4분 만에 이뤄진다”고 말했다.
또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겨냥한 장사정포는 초탄사격까지 30분 이상이 소요되지만 이후 발사는 3~4분 만에 이뤄진다”고 말했다.
김 편집장은 국지성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년 전 아픔을 겪었던 연평도를 포함한 서해 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가 그 위험지대다.
김 편집장은 “북한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서해 5도를 괴롭힐 수 있다”며 “특히 연평도는 북한 육지와 가까워 지형적으로도 불리하다. 전투력으로만 방어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후방에서 유사시 지원이 필요한데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김 편집장은 “북한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서해 5도를 괴롭힐 수 있다”며 “특히 연평도는 북한 육지와 가까워 지형적으로도 불리하다. 전투력으로만 방어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후방에서 유사시 지원이 필요한데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장 두려운 건 해안에 배치된 포병전력”이라며 “북한은 완전히 포밭을 이루고 있고 우리는 포를 몇 문 배치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포병전이 진행되면 우리의 대응수단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이외의 수단으로는 사이버테러를 꼽았다. 특별행동이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처럼 디도스 공격의 형태를 띌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 편집장은 “전자전 능력은 북한이 우리보다 우위에 있다”면서 “전자전은 나라의 크고 작음에 따라 전력 차가 나지 않는다.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에서도 이스라엘이 중동테러조직 헤즈볼라의 전자전에 고전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김 편집장은 심리전 가능성에 대해선 무게를 두지 않았다. 그는 “지금까지 북한의 도발은 항상 예고 후에 발생했다. 단적인 예로 지난 연평도 사태 전에도 여러 번의 징후가 있었다”며 “2010년 1월 27일 북한의 해안포가 북방한계선(NLL) 주변에 떨어졌고, 8월 9일에는 NLL 이남 우리지역으로 해안포가 떨어졌다.
또 연평도 사태 하루 전인 22일부터 실시된 남한 측의 호국훈련과 관련 ‘남측이 북측 영해로 포사격을 하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전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북한의 발언 역시 연평도 사태와 마찬가지로 실제 도발을 앞두고 예고한 것이라는 김 편집장의 주장이다. 김 편집장은 북한의 도발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들며 “남북관계는 우리하기 나름이다.
아직 북한의 통치체제가 정착이 안 된 만큼 시간을 두고 기다릴 필요가 있다”며 “집권 초기에 계속해서 적개심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을 만들면 김정은이 건재한 이상 남북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연평도 사태 하루 전인 22일부터 실시된 남한 측의 호국훈련과 관련 ‘남측이 북측 영해로 포사격을 하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전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북한의 발언 역시 연평도 사태와 마찬가지로 실제 도발을 앞두고 예고한 것이라는 김 편집장의 주장이다. 김 편집장은 북한의 도발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들며 “남북관계는 우리하기 나름이다.
아직 북한의 통치체제가 정착이 안 된 만큼 시간을 두고 기다릴 필요가 있다”며 “집권 초기에 계속해서 적개심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을 만들면 김정은이 건재한 이상 남북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gwang@ilyoseoul.co.kr>
이광영 기자 gwang@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