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류충렬(56)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이 검찰 조사에서 “관봉 5000만 원, 장인이 마련해 줬다”고 진술해 출처규명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11일 류충렬 전 관리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날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을 상대로 지난해 4월 장진수(39) 전 주무관에게 전달한 5000만 원의 구체적인 자금출처와 자금조성 과정, 돈을 마련한 지인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검찰 조사에서 류 전 관리관은 돈을 마련한 지인으로 지난 2월 1일 호주에서 사망한 장인을 지목했다. 하지만 검찰은 “턱도 없는 지인을 진술해서 어이가 없다”며 신빙성이 낮아 이번 주 후반에 다시 불러 미진한 부분에 대해 수사를 계속할 방침이다.
검찰은 장 전 주무관이 2010년 8월 이동걸 고용노동부장관 정책보좌관으로부터 받은 4000만 원의 출처에 대한 수사도 병행하고 있다.
이 보좌관은 장 전 주무관을 선의로 돕기 위해 지인들과 함께 돈을 모았다며 자금마련에 도와준 지인 6~7명의 인적사항 명단을 검찰에 제출했다.
명단에는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간부나 민간 노동단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포함됐으며, 기업인은 자금조성에 개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검찰은 명단에 나온 인물들을 차례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특히 돈을 모은 경위와 외압을 받고 반 강압적으로 자금을 지원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영호(48)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이 지난해 8월 장 전 주무관에게 건 낸 2000만 원도 이들로부터 빌렸거나 청탁 대가로 받아 마련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11일 법원으로부터 업무상 횡령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 받아 12일 오전 수도권 소재 세 곳에 수사관을 보내 진경락 전 과장을 체포하려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검찰은 지명 수배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진 전 과장이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특수활동비 중 매달 280만 원을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과 최종석 청와대 전 행정관 등에게 상납했다는 혐의(업무상 횡령)를 적용해 11일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 받았다”고 설명했다.
진 전 과장은 민간인 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의 핵심인물로 검찰로부터 여러 차례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통보를 받았지만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진 전 과장이 지원관실의 사찰기록을 저장한 노트북을 보관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검찰은 진 전 과장의 신병을 확보해 사찰 기록이 남은 노트북 컴퓨터의 소재와 증거인멸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