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명시가 ‘광명도시공사(이하 공사)’ 설립을 재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이미 공사 설립을 추진해 왔으나, 시의회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시는 112억 원을 출자해 공사 설립을 추진키로 하는 등 다음 달 안으로 광명시의회 임시회에 ‘광명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조례 제정안’을 재 상정키로 했다.
26일 시에 따르면 이번 조례안이 가결되면 정관 제정 및 임원공모, 사장 선임, 직원채용 등의 사전 절차를 거쳐 공사 설립을 마칠 계획이다. 그러나 이번 역시 시의회의 조례안 통과 여부가 불투명하다. 시의회가 지난해 10월 18일과 12월 29일 연 본회의에서 조례안을 잇달아 부결했기 때문이다.
시의회는 ‘성공적인 도시 개발을 위해 공사가 필요하다’는 견해와 ‘사업성이 낮아 적자 운영이 우려된다’는 의견으로 나눠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또한 같은 해 9월 16일과 11월 11일 열린 공청회에서도 일부 전문가와 시민들이 수익성 부족 등을 이유로 공사 설립을 강하게 반대했다.
하지만 시의 타당성 용역에서는 “도시공사가 KTX광명역세권지구 내 도시지원시설용지 개발과 광명골프연습장, 국민체육센터, 메모리얼파크 등의 관리 및 운영, 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등을 추진하면 연간 40억 원의 순수익이 날 것”으로 분석을 내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적자 운영에 대한 우려는 기우”라며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도시공사도 없고 시설관리공단도 없는 시·군은 우리 시를 비롯해 이천시와 동두천시 뿐”이라며 “적자 운영에 대한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경기 남부 주재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
경기 남부 주재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