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멘토 최시중 비리 연루설, SD로 번지나
MB 멘토 최시중 비리 연루설, SD로 번지나
  • 전수영 기자
  • 입력 2012-01-10 09:23
  • 승인 2012.01.10 09:23
  • 호수 923
  • 1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 최측근 비리 또 터졌다

▲ 지난 5일 국회 문방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회의 시작 전 생각에 잠겨있다. <정대웅 기자> photo@dailypot.co.kr
이명박 대통령의 멘토이자 이상득 의원과 함께 현 정권 실세로 불리고 있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측근 비리 의혹으로 곤욕에 빠졌다.

검찰은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이 300억 원대의 횡령 및 조세포탈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최 위원장의 측근인 정용욱씨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검찰은 김 이사장의 개인비리로 선을 그었지만 정씨가 최 위원장의 ‘양아들’로 불릴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으며 정치권과 방송통신 업계에서는 ‘실세’로 통했기 때문에 두 사람 간의 커넥션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번 사건과 관련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정권 실세인 최 위원장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이상득 의원으로까지 그 화살이 넘어가고 있다. 실제로 이 의원의 경우 그동안 비리와 관련된 의혹이 제기돼 왔지만 혐의가 드러나지 않아왔었다.

이에 대해 야권은 최 위원장과 이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며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고개를 숙이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무엇에 대한 사과인지 직접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잇달아 터진 친인척 및 측근 비리에 대한 포괄적 사과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집권 초기부터 이 대통령은 “측근 비리는 없다”라고 강하게 자신했지만 임기 말에 가까워질수록 측근과 친인척들의 비리 때문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그것도 자신의 형 및 최측근과 관련된 의혹들이 쏟아지면서 이 대통령의 말은 거짓말로 몰릴 위기까지 몰렸다.

최시중 위원장 “사실무근” 역설

최시중 위원장은 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자신의 측근 비리 의혹과 관련해 “위원회에 적을 뒀던 정책보좌역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 사실여부를 떠나 깊은 유감 말씀을 드린다”며 사과했다.

하지만 최 위원장은 자신과 방통위 자체와 관련된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다.

이런 최 위원장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야권에서는 최 위원장의 양아들로 불릴 만큼 친분이 있었던 정용욱 전 정책보좌관이 김학인 한국예술진흥원 이사장으로부터 2억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으니 최 위원장이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은 최 위원장이 즉각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민주통합당을 비롯한 야권에서는 최 위원장과 함께 그동안 여러 의혹이 제기됐던 이상득 의원에 대해서도 검찰 수사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최 위원장의 측근 비리로 촉발된 검찰의 칼날은 아직까지 정씨 개인에게 머물고 있지만 언제든지 확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SD도 의혹에서 교묘히 빠져나가

이상득 의원의 전 보좌관이었던 박배수씨는 2009년 3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두 조경업체로부터 3억 원에 달하는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아 구속됐다.

또한 박씨는 대영로직스 문환철(구속기소)을 통해 SLS 이국철 회장으로부터 그룹 워크아웃 및 검찰수사 무마 청탁 명목으로 현금 5억 원과 미화 9만 달러, 500만 원 상당의 까르띠에 손목시계를 받은 혐의를 추가로 받고 있다.

이 외에도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에게도 금품을 수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불법으로 수수한 금품이 1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 의원도 최 위원장과 마찬가지로 보좌관을 잘못 관리한 책임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주길 바란다는 사과를 하는 것으로 의혹을 일단락 지으려 했다.

하지만 검찰의 수사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 의원에 대한 의혹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며, 국민들은 살아 있는 권력은 건드리지 못하는 것 아니냐며 검찰에 대해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

MB, 측근·친인척 비리 해소할까

지금까지 우리나라 전직 대통령들 중 대다수가 임기 중 본인 또는 측근·친인척 비리로 인해 퇴임 후 곤욕을 치렀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부정축재로,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은 아들의 문제로,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 후 ‘박연차 리스트’로 인해 검찰 수사를 받기 위해 소환됐고 오래 지나지 않아 부엉이 바위에서 스스로 목숨을 내던지는 헌정사에 처음 있는 일까지 발생했다.

이 대통령 또한 이런 위험성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없다.

총선과 대선이 있는 올해 여야가 뒤바뀌거나 정권 교체가 되면 이런 모습이 재현될 가망성이 높을 것이라는 것이 국민들의 생각이다.

이 대통령도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측근·친인척 비리 의혹으로 인해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이런 의혹들을 깨끗이 털어버리고 가야한다는 것이 야당과 국민의 요구이다.

국민들에게 사죄의 의미로 고개를 숙인 대통령이 과연 이런 비리 의혹을 어떻게 풀 것인지도 중요한 과제로 남았다.

<전수영 기자> jun6182@ilyoseoul.co.kr

전수영 기자 jun6182@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