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가 꺼낸 든 쇄신의 칼날이 공천 물갈이로 기득권 파괴라는 예상된 파격을 뛰어넘어 당명 개정과 정부 정책에 차별화를 통해 사실상 이명박 정부와 결별 수순을 밟고 있다.
비대위는 이미 박 위원장의 “뼈를 깎는 쇄신”이라는 기조 위에 출발한 만큼, 재창당 수준의 대안을 내놓을 것이라는 고강도 쇄신을 예고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상 비대위원들의 입에서 당을 뜯어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자, 당내에서 반발의 기운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27일 열린 비대위의 첫날 회의에서 선관위 디도스 테러의 주모자로 공 모씨와 관련 문제를 따져 최구식 의원의 자진탈당 권유하고, 국회의원 회기 중 불체포특권 포기해야 한다는 결과물이 도출됐다.
나아가 대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이명박 정부와 차별화된 정책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들도 제기됐다. 그간 정부여당이 주도해온 당정 협의라는 정국 운영의 틀을 완전히 깨고 여권의 기득권까지 포기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곧 이명박 정부와의 다른 길을 가겠다는 뜻이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박근혜 위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며 “그곳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사실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親李 “당 갈기갈기 찢어내면 공멸 뿐”
김 위원의 이러한 시각에는 선관위 디도스 공격, 이국철 게이트, 제일저축은행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궁지에 몰린 당의 운명을 정면 돌파하려면 정권 실세로 자의든 타의든 연루된 인사들을 먼저 잘라내지 않고선 어렵다는 역설적인 측면이 깔려 있다.
그래서 비대위원 중 반MB 노선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일부 위원들은 우선 최구식 의원의 경우 탈당을 권유했지만 실상 이상득, 이재오 의원의 탈당을 겨냥하고 있다는 후문이 당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이상돈 비대위원은 이상득-이재오 의원을 지목하며 “쇄신의 핵심은 국정운영 책이 있는 인사에 대한 인적쇄신”이라며 “정권 실세들이 스스로 책임 있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비대위원들의 비판적인 발언들이 잇따르자 일부 친이계 의원들 사이에서 비대위원들의 적격성을 거론하며 갈등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상득 의원 측은 언론을 통해 “이미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마당에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며 “현재 여권의 모습이 잘된 게 아니고 당 원로로서 일말의 책임을 느낀다”면서도 탈당을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내비쳤다.
한 친이계 의원은 28일 <일요서울>과의 전화통화에서 “친이-친박이 무너진 상황에서 당내 화합을 이끌어야 할 비대위가 쇄신이라는 명목으로 다시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며 “당을 갈기갈기 토막낼 쇄신 뒤에 결국 남는 것은 공멸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비대위 인사들을 보면 모두 박 전 대표의 당 외곽 인사들로 채워져 있고, 지난 대선 경선 캠프에 직간접으로 참여한 이들이기에 반MB 쇄신은 결국 친이계의 축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또 정몽준계로 분류되는 전여옥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1993년에 동아은행에서 2억 1천만원을 받아 2년 동안 징역을 사신 분”이라며 “(비대위원으로 참여한 것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런데다 보다 엄격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공천 기준이 나올 것이라는 긴장감이 친이-친박 아울러 출렁이고 상황에서 파격적인 물갈이 단행와 정책 개혁 쇄신을 앞세운 박근혜 비대위가 순항하기까지 적지 않은 내부 갈등과 내홍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동석 기자>kds@ilyose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