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7일(현지시간) 지구 인근 소행성 탐색 프로젝트인 ‘스페이스 가드’(Spaceguard) 연구결과를 종료하고 이같이 발표했다.
1998년 미 의회의 지시로 추진된 스페이스 가드 프로젝트는 지구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지름 1㎞ 이상 물체를 파악하는 연구를 실시해왔다.
이 프로젝트에서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WISE)을 사용해 지구와 근접한 지름 1㎞ 미만인 소행성 2만500여 개를 찾아냈고, 이는 전체 90%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지름 100m가량의 소행성이 대략 3만6000개에서 10만개 정도일 것으로 추정돼 왔다.
NASA는 “(지구에 근접한 이들 소행성이) 강력한 충격을 줄 수 있다”면서도 지구와의 직접적인 충돌 가능성에 대해선 우려할 수준으로 아니라고 밝혔다.
그러나 연구진의 관측 자료에서 엿볼 수 있듯 지구로 소행성이 돌진해올 가능성은 상존한다. 이 때문에 NASA 측도 프로젝트 결과를 놓고 지구에서 약 4.6㎞ 떨어진 거리 위치해 잠재적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에 대해선 면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현재 전 세계 어느 국가도 소행성 충돌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NASA의 연구결과는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최보성 기자> idzzang2@ilyoseoul.co.kr
최보성 기자 idzzang2@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