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부, 말 뿐인 규제 벗어난 개선책 강구”
윤 회장 아들 회사 매출 90%가 내부거래 ‘눈총’
윤덕병 한국야쿠르트 회장이 꼬꼬면의 매출 증대에도 불구하고 환히 웃지 못한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동수)가 기업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계열사 간 내부거래에 대한 공시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한국야쿠르트도 계열사인 삼영시스템을 돕는다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삼영시스템은 윤 회장의 아들인 윤호중 전무가 지분 100%를 소유한 개인회사나 마찬가지다. 더욱이 이곳은 향후 윤 전무의 경영승계 창구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때문에 한국야쿠르트에 대한 사정기관과 시민단체의 따가운 시선이 고정되어 있다. 그 이유를 알아본다.

한국야쿠르트는 1969년 11월 설립됐다. ‘야쿠르트 아줌마’로 친숙한 기업이다.
최근에는 꼬꼬면의 성공으로 기업이미지는 물론 국민들의 사랑도 독차지하고 있다. 윤 회장 경영의 ‘제2의 전성기’라는 말도 서슴지 않게 나돌 정도다.
하지만 아들사랑이 배탈(?)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이목이 집중된다. 아들이 지분 100% 소유한 계열사 삼영시스템 매출의 절반 이상을 돕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업 물량 몰아주기’ 의혹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삼영시스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 회사의 매출은 1281억781만2408원이다. 이중 특수 관계자인 ㈜한국야쿠르트와의 거래내역 중 매출은 총 1100억7763만2000원이었다. 전체 매출의 85%가량이 한국야쿠르트와의 거래에서 발생한 것이다.
또한 한국야쿠르트가 인수한 ㈜비락과의 거래관계에서의 매출액은 107억2302만 원이다. 회사 매출의 대부분은 한국야쿠르트와 그 계열사를 통해 올리고 있는 것이다.
특수 관계자와의 안정적인 거래 덕에 1999년 239억 원의 수익을 거둔 삼영시스템은 2000년 385억 원, 2001년 463억 원, 2002년 50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윤 전무가 보유한 한국야쿠르트와 계열사들의 지분 현황을 살펴보면 이 같은 의혹은 더욱 짙다.
윤 전무의 삼영시스템은 한국야쿠르트가 인수한 코야, 플러스자산운용㈜, 능률교육, 헬스케어 전문 업체 메디컬그룹 나무 등과 거래를 맺고 있다.
윤 전무는 그룹 나무의 지분 16.07%를 보유하고 있고, 플러스자산운용과 능률교육 지분은 각각 25%, 4.26%를 가지고 있다.
비락의 지분 50.33%를 소유한 최대주주고, 비락은 한국야쿠르트의 지분 23.74%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야쿠르트의 최대주주는 일본 야쿠르트혼샤로 38.3%를 갖고 있다. 삼영시스템-비락-한국야쿠르트의 지배구조인 것이다.
더욱이 이번에 삼영시스템이 인수한 큐렉소로 이전한 무역사업부도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삼영시스템이 용기제조업에 집중하고, 큐렉소는 무역사업을 통해 한국야쿠르트와 시너지를 올린다는 계획이지만 무역사업부가 이전된 큐렉소는 향후 한국야쿠르트 헬스케어 사업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논란이 집중됐다.
이 부서를 통해 한국야쿠르트에 원유 등을 납품함으로써 윤 전무의 경영 실탄 구축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실제 큐렉소 인수전에 윤 전무가 깊숙이 관여했다는 게 주변의 전언이다. 윤 전무는 이미 지난 2009년 교육업체 능률교육 인수를 주도한 바 있다. 당시 한국야쿠르트는 능률교육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형태로 경영권을 확보했다. 이번 큐렉소 인수도 유상증자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활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야쿠르트가 유가공 등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헬스케어 등 미래 신규 사업 아이템을 적극 발굴해 나가고 있다”며 “윤 전무의 역할도 그만큼 확대되고 있는 셈”이라고 전했다.
경영승계 창구 ‘의혹’
이에 따라 이를 바라보는 시민단체의 시선이 따갑다.
한 시민단체의 관계자는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의혹에 대해선 타 기업 사례를 통해 무수히 많이 지적했는데도 여전하다. 한국야쿠르트도 지나친 자식 사랑 자료가 확보될 경우 경제단체들과 함께 조사 촉구요구서를 공정위에 제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정부 차원의 개선책이 나오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라며 “솜방망이 처벌이 아닌 정부규제가 확장되어야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국야쿠르트의 한 관계자는 “내부에선 일감몰아주기로 생각지 않는다”며 불편해했다. 하지만 한국야쿠르트 역시 지난 9월 정부가 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행위를 사실상 편법증여로 판단,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황이라 이 같은 해명에 힘이 실리지 못하고 있다.
한편 경제개혁연대 관계자는 “공정위의 과징금을 일감을 지원한 회사가 아니라 그로 인해 이익을 얻은 회사에 부과해 거래의 유인을 없애는 등 공정거래법과 세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