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해명을 해야 한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1일 부산일보의 신문발행이 전날 중단된 것과 관련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향해 일갈했다.
이날 김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군사독재 시절에나 있을 법한 사태가 버젓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과 우려를 금치 못한다”고 말했다.
그가 박 전 대표의 책임있는 해명을 요구한 것은 이번 사태 원인이 부산일보 주식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가 정수장학회이기 때문이다.
부산을 대표하는 지역신문인 부산일보의 발행 중단 사태는 경영과 보도 운영에 이르기까지 정수장학회가 좌지우지해온 것과 무관하지 않고, 부산일보 노조 측과의 갈등이 결국 곪아터진 결과라는 게 주지의 사실이다.
또 정수장학회는 박 전 대표가 사실상 실질적인 소유주로 2005년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면서 그의 비서관을 지낸 최필립(84) 씨에게 바통을 넘겨 영향력을 행사해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연유로 김 원내대표는 “부산일보 편집국은 어제 날짜로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편집권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려고 지분 100%를 소유한 정수재단을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기사를 실으려 했다”며 “그러나 편집과 지면 완성까지 마친 상태에서 (경영진이) 윤전기 가동을 중단시켜 신문이 발행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부산일보는 1988년 편집권 독립을 요구하는 파업으로 신문발행이 중단된 데 이어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이런 일이 생겼다”며 “박 전 대표의 최측근인 사장·이사장이 언론자유를 짓밟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박 전 대표가 2005년 정수재단 이사장에서 물러났지만 측근을 통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사실상 정수재단의 소유자인 박 전 대표가 언론자유를 짓밟는 사태에 대해 책임 있는 해명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실상 박 전 대표가 소유하고 있는 정수장학회는 5·16 직후인 1962년 군사정부가 부산지역 언론인 김지태 씨 소유의 부일장학회와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을 국가에 헌납하도록 강요해 만들어진 재단으로 ‘5·16장학회’라는 명칭으로 불리다가 지난 82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꿨다. 이 때문에 그간 사회환원을 요구하는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