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신재민, 이재훈에 이어 유명환 장관까지
이명박 대통령의 8·15경축사에 언급한 ‘공정한 사회’ 구현이 부메랑이 되어 MB 정권을 옥죄고 있는 형국이다. 이 대통령은 김태호 총리 내정자의 사퇴 의사를 받아들이면서 “이 일을 계기로 공정한 사회 기조가 국정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뿌리내리도록 힘을 쏟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한 이후 이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 수석비서관들로부터 공정한 사회 실천 방안을 보고받았다. 이 자리에서도 이 대통령은 “우리가 먼저 지켜야 다른 사람에게 공정한 사회를 전파할 수 있다”며 “청와대가 스스로 지키고 공직사회가 가장 먼저 시작할 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대통령이 ‘공정한 사회’를 외치는 사이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딸 특혜 논란이 일자 청와대 및 해당부처는 당혹스럽다는 표정이다. 이 대통령이 연일 ‘공정한 사회’를 외쳤지만 공직사회는 그와는 동떨어진 행태를 보였기 때문. 유 장관이 발빠르게 사과 및 해명 그리고 ‘채용 취소’라는 즉각적인 조치를 취한 배경 역시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벌써부터 야권에선 “유명환 장관 사퇴하라”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나아가 여권 일각에서도 금명간 사퇴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분위기다. 8.8개각 명단에 빠져 살아남은 유 장관은 결국 이 대통령의 ‘공정한 사회’ 발언으로 낙마될 상황에 처했다.
여권 일각에선 “누가 대통령 기념사에 공정한 사회를 제안했느냐”에 관심이 쏠렸다. 평소 임태희 대통령 실장이 즐겨 써왔던 점에서 1순위로 꼽히고 있다. 실제로 청와대에 정통한 한 인사는 “임 실장이 경축사에 삽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당시 대통령도 흐뭇해 했다”고 전했다.
[홍준철 기자] mariocap@dailypot.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dailysun.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