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가계대출 900조 원에 육박
- 보험금 및 전세금 담보 대출 급증
한국은행은 22일 9월 말 현재 은행을 제외한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총 391조2926억 원이며 전체 가계 대출 840조9231억 원의 46.5%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 인 2006년 말 제2금융권 가계대출 비중이 39.7%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5년간 은행권 대출은 346조2000억 원에서 449조6000억 원으로 103조 원 가량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제2금융권 대출은 163조 원 늘어 증가율이 1.6배 높았다.
이같은 제2금융권 대출 ‘쏠림 현상’은 2006년 이후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강화 등 은행권 대출을 규제하면서 대출 수요가 제2 금융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 금융당국이 은행권 대출에 대해 더욱 고삐를 죄면서 서민들이 제2금융권으로 더욱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 대출은 4조 원 가량 늘었고 카드사, 할부금융사 등의 대출도 2조 원 가까이 늘어났다. 증권사, 대부업체 등이 포함된 기타 금융사 대출도 3조7000억 원 증가했다.
이밖에 은행권의 전세보증금 담보대출도 급증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전세보증금 대출 잔액이 1월말 800억 원에서 10월 말 현재 1670억 원으로 2배 늘었고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296억 원에서 597억 원으로 급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좀처럼 손대지 않는 보험금, 전세보증금 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다는 것은 다른 대출길이 사실상 막혔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제2 금융권 대출의 경우 은행권보다 상대적으로 ‘질’이 낮아 대출 금리도 높고 연체율도 높다. 이는 가계대출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