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수, 잇단 돌출발언 ‘왜’
안상수, 잇단 돌출발언 ‘왜’
  • 홍준철 기자
  • 입력 2010-07-20 09:31
  • 승인 2010.07.20 09:31
  • 호수 847
  • 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총리론, 개헌, 한자연대 진짜 속내는‘국면전환용’
▲한나라당 안상수 신임 대표최고위원 및 최고위원들이 지난 15일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하기 위해 걸어오고 있다.

한나라당 신임 안상수 당 대표의 돌출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당 대표 후보 시절에는 친박계의 표심을 의식해 ‘박근혜 총리기용설’을 당 대표 이후에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그리고 최근에는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의 합당을 주창하고 나섰다. 박근혜 총리설은 친박 진영에서 부정적으로 보고 있고 ‘분권형 대통령제’는 야당에서 반대하고 있다. 또한 자유선진당과의 합당은 선진당측에서 ‘사전 조율된 게 아무것도 없다’며 일축하고 나섰다. 상대방과 협의나 구체적인 진행상황 없이 ‘툭툭 던지는’ 안상수식 돌출 발언에 상대방 진영은 ‘피곤하다’, ‘국면전환용일 뿐’이라고 일축하고 나섰다. 안 대표의 속내를 알아봤다.

안상수 신임 원내대표가 연일 메가톤급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당 대표 후보시절에 주장했던 ‘박근혜 총리 기용설’부터 개헌론, 중도보수 대통합론 등 굵직굵직한 현안들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하고 있다. 친박 진영에서 ‘박근혜 총리기용설’에 물 건너 간 얘기라고 무시하고 있지만 안 대표는 막무가내식이다. 일단 박 전 대표를 만나고 이후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강력하게 요구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박 전 대표가 조기 레임덕 현상을 보이고 있는 MB 정권에 총리로 나서 총대를 매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영포목우회 논란으로 촉발된 사조직의 인사전횡, 내부 권력 다툼에 야권에서 MB 최측근 인사들을 겨냥한 각종 게이트가 터져나오고 있는 정치 현실에 발을 담글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지난 경선에서 검증을 받았다고 하지만 총리로 임명된 이후 벌어질 인사 청문회 역시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한나라당내 친이와 친박 의원들이 인사청문회를 형식적으로 한다고 할지라도 야권에서 ‘도출 질문’이 터져 나올 경우 원칙과 소신의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구데기 무서워서 장 못담그냐’라는 반박도 존재한다. 여당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인사 청문회가 두려워 못한다는 것은 이유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과거 이회창 대표가 97년, 2002년 대선에서 같은 ‘병풍 사건’으로 낙마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위험 부담이 전혀 없을 수만은 없다.


7·28 재보선 시험무대

오히려 친박 진영에서는 친이 강경파인 안 대표가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인 7·28재보선에서 선전을 위해 ‘박근혜 활용론’을 펼치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하다. 전국적으로 치러지는 이번 재보선은 총 8곳으로 미니 총선으로 불릴 정도로 여야 관심이 높다. 한나라당이 8:0 완패나 7:1로 패배를 할 경우 ‘변화와 쇄신’에 동감하고 있는 안 대표로서 ‘도로 한나라당’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안 대표의 개헌을 염두에 둔 ‘분권형 대통령제’ 주장 역시 정치적 이해관계와 물리적인 한계로 인해 ‘너무 늦었다’는 주장이다. 개헌을 위해서는 의석수의 3분2가 찬성해야 하는데 민주당을 비롯해 야당이 반대를 하고 있는 데다 50여명의 당내 친박 의원들 역시 부정적이 때문이다. 유력한 대권주자를 갖고 있는 친박 진영에선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는 분권형 대통령제에 부정적이다. 민주당 역시 마찬가지다. 지방선거전까지 패배의식이 폭넓게 퍼져 있던 민주당이지만 지방선거 승리로 인해 정권 탈환에 대한 자신감이 ‘분권형 대통령제’에서 ‘4년 중임제’로 기류가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물리적으로도 현재 구 친박연대와 합당을 통해 176석을 이룬 상황이다. 하지만 국회 통과를 위해선 재적 의원 3분의2이상으로 194석 이상이 돼야 통과가 가능하다. 물론 친박 인사들의 불참이나 반대가 없어야 한다. 그래도 부족해 개헌 통과 의석수를 채우기위해선 16석을 갖고 있는 자유선진당과 연대하고 무소속 표까지 흡수해야 가능한 현실이다. 안 대표가 ‘중도보수 대통합’을 주창하며 자유선진당과 통합을 주창하는 배경이다.

하지만 자유선진당측은 보수대통합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시기적으로 2011년이나 2012년으로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선진당측의 한 관계자는 “구체적인 진행상황이나 사전에 얘기된 게 아무것도 없다”며 “그리고 시기적으로 이른 감도 없지 않다”고 성사 가능성을 낮게 봤다. 이 인사는 “새로운 지도부가 탄생했으니 ‘계파 논쟁’보다는 현안에 대해 화두를 던져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빠져 있는 것 같다”며 “2012년 총선이나 대선이 가까워졌을 때나 가능한 얘기”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선진당측 인사 역시 “한자 통합이 실체가 있거나 준비된게 없다”며 “대선즈음에 보수정권 연장을 위해서나 민주당이 정권을 탈환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됐을 때 뭉칠 수 있다”고 동조했다. 결국 개헌은 여야 합의 사안으로 인위적인 합당을 통해 추진할 경우 국민들로부터 역풍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유선진당은 경계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홍준철 기자] mariocap@dailypot.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dailysu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