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가장 조심해야 할 홀은 바로 파3홀(숏홀)이다. 즉 파3홀에서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얘기다. 파3홀에는 반드시 함정이 있다. 거리가 짧으면 그린 굴곡이 심할 것이고, 거리가 중간이면 해저드나 벙커 등 트러블이 도사린다. 또 거리가 180야드 이상되는 롱홀이면 파온 조차 쉽지가 않다. 문제는 파세이브 확률이 파4나 파5홀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파4홀에서는 종종 3온-1퍼트 형태의 파세이브를 하지만, 파3홀에서는 ‘붙여서 파를 잡는 경우’가 드물다. ‘한번 실수=보기’라는 부담이 파4홀 등에 비해 한층 크고, 실제 그린주변의 지형도 까다롭기 때문이다. 큰 내기가 붙거나 라이벌을 반드시 이기고 싶다면, 가고자하는 골프장의 파3홀 거리를 파악하고 가라.
그에 해당하는 아이언을 집중 연습하는 것도 방법이다. 그렇다면 싱글 핸디캡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뭘까? 거리, 퍼팅, 아이언샷의 정확도, 매니지먼트 등 숱한 답변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이런 얘기는 너무 막연하다. 최우선 조건은 아주 간단하다. 100야드 안의 샷만 매번 온그린 시키면 된다. 물론 많은 골퍼들은 “100야드 이내의 짧은 거리는 누구나 올릴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하지만 당신 골프를 되돌아보라. 십중팔구 게임이 엉망이 되는 날은 100야드 이내에서 한 실수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예를들어 파5홀에서 기막힌 샷으로 2타 만에 그린전방 50야드까지 오면 그건 두말 없이 버디 찬스다. 하지만 그 50야드 샷을 온그린조차 시키지 못하면 열받지 않을 골퍼가 어디 있겠는가. 머리는 버디인데, 몸은 더블보기가 되는게 바로 그 케이스. 100야드 이내 거리의 샷을 90%이상 파온 시킨다면, 이미 당신은 싱글 핸디캡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