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의 실력은 물론 천차만별이다. 그 천차만별의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재밌는 골프, 멋진 골프를 칠 수 있을까. 상식적인 선에서 한 번 생각해보자. 접대하는 측이 접대받는 사람보다 훨씬 골프를 잘 친다면 곤혹스럽게 생각될 수도 있다. 돈 잃고 속 좋은 사람은 없는 법. 나보다 상대가 잘 치면 기분 좋을리 없다. 하지만 골프라는 것이 묘한 운동이어서 일부러 잘 못치기도 힘들고, 스코어를 조정하기도 쉽지 않다. 봐준답시고 일부러 OB를 내거나, 60cm 퍼팅을 놓치면, 그 ‘조정’에 대해 나도 알고 상대도 안다. 상대가 까다로운 사람이라면 오히려 기분 나쁘게 생각할 수도 있다. 셈이 흐린 비즈니스맨이라는 인상을 줄 수도 있다. 물론 게임도 대번에 “이런 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식으로 싱겁게 변하고 만다. ‘접대 골프’의 고수들은 이럴 때 기분좋은 트릭을 쓴다. 접대하는 나도 즐겁고, 접대받는 상대로 유쾌한 ‘회심의 겨냥’을 하는 것이다. ‘접대 골프’의 비법을 공개한다.
첫 번째는 눈에 안띄게 살짝 비껴서 겨냥하기. 예를 들면 아이언 샷을 할 때는 일부러 그린 옆의 벙커를 겨냥한다. 모두들 핀을 향한 샷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 겨냥하는 곳은 벙커. 만약 당초 겨냥한대로 볼이 벙커에 빠지면, 제대로 친 것이니 ‘치는 당사자’가 즐겁다. 만약 벙커를 겨냥했지만 샷이 잘못돼(?) 온그린 돼도 기분 나빠할 골퍼가 있겠는가. 둘째 티잉 그라운드에서도 비슷한 방법이 있다. OB가 있는 홀에서 딱 OB선 5m 안쪽을 겨냥해 샷을 하는 것이다. 볼이 정확히 그 지점에 떨어지면 잘 쳐서 좋은 것이고, 샷이 부실해 OB가 나더라도 그것은 ‘상대가 기분좋게’ 잘못 친 것이다. 어느 경우나 일부러 하는 조정은 결코 아닌 셈이다. 접대하는 측의 실력이 좀 달려도 맥락은 같다. 핸디캡이 높을수록(즉 하수일수록) 골프는 의도와는 반대의 결과가 나오기 십상이다. OB선을 향해 치면 거꾸로 볼은 페어웨이에 떨어지고, 벙커에 일부러 넣으려 하면 잘 안 들어간다. 그날 골프가 유달리 잘 돼서 겨냥한대로 매번 트러블에 걸리면 그 역시 상대를 포함, 기분 나쁠 사람이 전혀 없는 법이다. 결론적으로 접대골프가 필요하다면, 접대 비기너같이… 눈에 보이게 조정하지 말고, 특히 그린에서 조정하려 들지 말고, 나도 좋고, 상대도 모르는 위와같은 조정이 최고라는 애기다.접대 골프. 생각하기에 따라 아주 재미있는 골프 아닌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