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이란 자기 의식대로 샷을 한다는 뜻이다.그러한 경지는 다음의 과정으로 이뤄진다. 클럽을 손에 잡는다 - 머리 속의 스위치 모드를 집중으로 돌려 놓는다 - 실제 샷을 한다는 기분으로 연습 스윙을 한다 - 임팩트 존에서 ‘착’ 하고 헤드가 풀을 스치는 감이 좋다 - 됐다 싶은 게 자신감이 생긴다 - 그 느낌으로 실제 스윙을 한다.집중이란 스스로 자신감을 만들어내는 경지다. “어떻게 집중하느냐?” 고 물을 필요는 없다. 그저 모든 생각을 버리고 그윽하게 최고의 샷만을 추구하면 된다.기술 같아도 마음과 전력따라 10타를 줄인다주말 골퍼 세 명과 함께 골프를 쳤다. 그들 중 두 명은 스윙 자체도 괜찮았고 임팩트도 좋았다. 그러나 스코어는 공히 90대 후반을 벗어나지 못했다. 잘 맞았을 때 뻗어나가는 구질이나 거리로 보건대, 스윙에 비해 스코어가 극히 나쁘다는 인상이었다.그들의 플레이 패턴은 아마추어 골프의 전형이었다. 가끔 드라이버 샷이 얼토당토 않게 굴러가거나 휘는 샷이 나타났고, 그린 근처까지는 시원스레 왔다가 거기에서부터 몇 타를 까먹는 식이었다. 그들의 골프를 지켜본 결과 “추가 연습을 하지 않아도 현명한 플레이만 하면 무려 10타 정도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그들은 네댓 홀마다 한 번꼴로 나타나는 이상한 드라이버 샷을 없애야 한다. 그와 같은 드라이버 샷은 특히 페어웨이가 넓고 거리도 짧은 쉬운 홀에서 등장했다.또, 일단 미스 샷이 나면 계속 실수를 연발하는 흐름이었다. 구조적으로 좋은 스윙을 갖고 있으면서도, 이따금 드라이버 샷 실수가 나오는 것은 한 가지 원인밖에 없다.그것은 ‘거리를 내겠다’ 는 마음이다. 스윙을 잘 관리하다가도 어느 홀에선가 자신도 모르게 힘이 들어가면 샷이 이상해지는 것이다. 거리를 내겠다고 힘을 주며 스윙 톱에서 ‘움찔’ 하며 빗맞는 현상이 발생하는 셈이다.그러한 현상 자체가 실력이라면 할 말이 없지만, 이는 골퍼 스스로의 다짐으로 얼마든지 예방이 가능하다. 스윙이 원래 나쁜 탓에 자주 미스 샷이 나오면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하지만, 앞의 골퍼들은 단지 욕심을 너무 낸 탓에 실수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골퍼들은 티잉 그라운드에 올라 매번 ‘부드럽게만 스윙하자’ 고 되뇌면 획기적인 개선이 가능하다.
매 홀 잊지 말고 자신에게 ‘힘 뺀 스윙’ 을 주지시키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 드라이버 샷이 어긋나면 트리플 보기가 일반적이었는데, 그 실수의 횟수를 한 라운드에 두 번만 줄여도 5타 정도는 세이브 할 수 있다.쇼트 게임도 마찬가지이다. 300m를 두 번에 와서 나머지 50m를 4~5번에 가는 것은 핀(깃대)을 너무 의식하기 때문이다. 핀에 붙여야겠다는 ‘부담’ 이 뒤땅이나 토핑을 유발한다. 이 때는 겸손히 칠 수밖에 없다.자신의 쇼트 게임 실력이 출중하지 않은 편이라면 그저 온그린(On Green)만 추구하면 된다. 짧은 어프로치를 그르쳐 온그린조차 실패하면 1타가 늘어난다.따라서 멀든 가깝든 간에, 온그린만 시키면 1타를 버는 셈이다. 이같이 쇼트 게임의 1타 차이를 없애려면 편한 마음으로 넓은 그린에만 올리라는 것이다. 3퍼트나 4퍼트 같은 퍼팅 실수도 앞의 설명과 그 맥락이 같다.평균 스코어가 90대 후반이라면 붙인다는 개념이 훨씬 현명하다. 이번 주말에 이상의 두 가지만 염두에 두어도 당신의 스코어는 크게 낮아질 것이다. 골프는 기술이 같더라도 마음이나 전력에 따라 10타는 차이가 난다. 특히 90대 후반에서 초반으로, 90대 초반에서 80대 진입이 그러하다.
<골프스카이닷컴> www.golfsky.com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