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서청원-오세훈 연대 카드 ‘재부상’
박근혜-서청원-오세훈 연대 카드 ‘재부상’
  • 정치부 기자
  • 입력 2010-01-26 09:24
  • 승인 2010.01.26 09:24
  • 호수 822
  • 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청원의 분신 서장은 ‘정무부시장’ 역할론
박근혜 전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은 동병상련이다. 한나라당내 주류에서 비주류로 전락한 박 전 대표나 친이 일색의 수도권에서 재선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오 시장 처지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서장은 전 서청원 친박연대 대표 보좌관이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에서 정무부시장으로 승격되면서 눈길을 모았다. 박근혜-오세훈 연대설의 한 주역이 서 부시장이기 때문이다. 정치 환경 또한 두 인사의 연대설을 부추키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세종시 문제로 오 시장은 재선도전으로 친이 진영으로부터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오(吳)-박(朴) 연대설’의 진상을 알아봤다.

서장은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고려대 법대를 나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같은 대학 법학과 4년 선배다. 또 서 부시장은 6선의 서청원 친박연대 공동대표의 오랜 보좌관 생활을 지낼 정도로 서청원 사람으로 알려진 인사다. 정치권에서는 서 부시장을 서청원 대표의 ‘분신’으로 부르는 배경이다. 한때 성이 같아서 서 대표의 친조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을 정도다.

또한 서 대표는 5선의 동작갑 지역구를 서 부시장에게 물려줄 정도로 애정을 표현했다.

최근에는 서 부시장이 오세훈 서울시장 관련 ‘비리 의혹’ 기사가 한 월간지에 보도됐을 때 ‘수위 조절’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 인사로 지목받을 정도로 오 시장의 ‘좌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런 서 정무부시장의 행보가 정치권에서 주목받는 것은 당연하다. 항간에는 오 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의 ‘연대론’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물론 박 전 대표와 서 대표의 인연 또한 남다르다. 서 대표는 작년 9월 공천 대가로 특별당비를 받은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아 정치 보복이라며 단식할 당시 박 전 대표는 위로 방문을 통해 “저번에 한 점 부끄럼 없다고 하신 말씀을 믿습니다”고 전폭적인 신뢰를 보낸 바 있다.

두 사람의 인연은 1998년 박 전 대표가 대구 달성 보궐선거로 정계에 입문할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공천장을 준 사람이 한나라당 사무총장이었던 서 대표다. 서 대표의 부인인 이선화 여사는 달성에 상주하다시피하며 선거를 돕기도 했다. 또한 2002년 한나라당을 탈당했다 복당할 때 서 대표는 당 대표로서 환영 꽃다발을 전달했고 서 대표가 2004년 불법대선자금으로 수감됐다 집행유예로 풀려나자 가장 먼저 난을 들고 찾아간 사람이 박 전 대표다.

서 대표 역시 지난 2007년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이명박 후보측으로부터 ‘영입 제의’를 받았지만 ‘의리’를 지키기위해 박 전 대표 캠프에 합류했다. 이런 두 인사의 인연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서 대표를 ‘박근혜 복심’이라는 데 토를 달지 않고 있다.

‘오-박 연대설’이 재차 나오는 배경에는 최근 두 인사의 정치적 상황과 무관치 않다. 박 전 대표의 경우 세종시 문제로 친이명박 인사들로부터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다. ‘세종시 원안’을 고수하는 박 전 대표는 한때 당 대표로 있던 시절 주류였지만 지난 대선과 총선을 거치면서 당내 비주류로 전락한 상황이다. 정몽준 당 대표를 비롯해 정운찬 총리로부터 양공을 받으며 혈혈단신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역시 마찬가지다.

오 시장과 친이명박 인사들과 ‘불화설’의 단초는 뉴타운 공약으로부터 시작됐다는 게 정치권의 정설이다.

친이 진영에서는 전 서울정무부시장을 지낸 정두언 의원을 비롯해 유인촌 문화관광부 장관 등을 거론하며 오 시장을 압박하고 있다. 오 시장관련 음해성 소문이 진원지로 친이 진영을 꼽을 정도다. 또한 지난 서울시장 경선 당시 자신을 지지했던 원희룡 의원이 서울시장에 도전하면서 안팎으로 곤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오 시장이나 박 전 대표 모두 친이 진영에 맞서 ‘단일 대오’를 보일 필요성을 어느 때보다 느끼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입장이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높다.

오 시장은 현재 정몽준 당 대표의 ‘세종시 수정안’으로 당론변경에 찬성하고 있는 입장이다. 오 시장은 지난 14일 한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세종시는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정책이었다”며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로 만들겠다는 정부안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물론 서울시 민심이 전국에서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찬성율이 높다는 점에서 시장으로서 여론을 무시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 역시 ‘원안 고수’로 정치적 생명을 건 도박을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오-박 연대설’이 가시화되기위해선 세종시법 처리가 먼저 해소돼야 한다는 정치권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치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