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지성으로 섬기겠다"는 대통령 약속
"국민을 지성으로 섬기겠다"는 대통령 약속
  •  기자
  • 입력 2008-03-05 09:54
  • 승인 2008.03.05 09:54
  • 호수 723
  • 1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월 25일 17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의 취임사는 5년 임기 동안 펼쳐갈 국정 청사진을 담고 있다는데서 주목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취임사 중 가장 관심을 끈 대목은 ‘국민을 섬기겠다’는 대목이다. 그는 “국민을 섬겨 나라를 편안하게” “국민을 지성으로 섬기는 나라” “공직자들은 더 성심껏 국민을 섬겨야” 등을 되풀이 했다.

국민을 섬기겠다는 말을 세 번이나 반복하며 강조하였다.

물론 이 대통령의 취임사 중에는 국민을 섬기겠다는 말 외에도 관심을 끌만한 문구들이 많다.

“2008년을 대한민국 선진화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의지 표명, “이념의 시대를 넘어 실용의 시대”로 가겠다는 노선 천명, “고통스럽더라도 더 빨리 변해야” 한다는 변화 강조, “작은 정부, 큰 시장”의 효율성 역설, 세금 인하 약속, 노조의 “과격한 투쟁” 종식 요구, “능동적·예방적 복지” 정책 구현, 대학의 자율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존중, “실용의 잣대”로 남북관계를 풀어가겠다는 방향 제시, “소모적인 정치관행” 탈피 등이 그것들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여러가지 두드러진 다짐들 중에서도 유독 “국민을 지성으로 섬기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문구에 크게 감명을 받았다.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섬기겠다는 언약은 당연한 책무이지만 지난 날 대통령들이 국민을 섬기는데 소흘했기 때문이다.

권위주의 통치체제 아래서는 대통령들이 국민을 섬긴 게 아니라 국민 위에 군림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전두환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그랬다. 그들의 취임사에는 아예 국민을 섬기겠다는 단어가 빠졌다.

그러나 민주화시대의 대통령들도 취임사에서 국민을 섬기겠다는 단어를 제시하지 않았다. 그들은 스스로를 반독재 민주화의 ‘주역’이니, ‘투사’니 하며 자랑하면서도 ‘제왕적 대통령’또는 ‘코드 대통령’으로 빗나갔다.

특히 노무현·김대중 대통령은 자기나라 국민을 섬긴 게 아니라 북한의 김정일 공산독재자를 섬기는데 급급하였다. 두 친북좌파정권들은 10년 동안 무려 10조원에 달하는 돈과 물자를 김정일에게 퍼주었다.

그들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우리 국민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김정일의 비위맞추기에만 매달렸다.

김대중 대통령은 온 국민들이 외환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금을 모으는 등 외화벌이에 나섰는 데도 북한에 금강산관광 댓가로 외화를 마구 퍼주기 시작했다. 그는 정상회담 댓가로 김정일에게 4억5000만달러의 외화를 불법으로 빼돌리게 하였다. 그는 북한 해군 경비정이 우리 해군을 기습공격해 수십명의 사상자를 냈는데도 북한의 도발을 덮어주며 김정일 비위맞춰주는데만 급급하였다. 그는 분명히 대한민국 국민을 섬긴게 아니라 김정일을 섬긴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북한이 결정적 시기에 남한적화를 위해 휘둘러댈 미사일을 실험발사 해도, 핵폭탄을 실험해도, 퍼주기를 계속했다. 전 세계가 대북제재에 나서도 그는 대북제재 참여를 기피했다. 그는 북한이 핵폭탄을 실험하자 선제공격용이 아니라며 김정일의 주장을 옹호해 주기도 했다. 그도 명백히 대한민국 국민을 섬긴게 아니라 김정일을 섬긴 것이다.

10년만에 대한민국 대통령이 취임사를 통해 김정일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을 지성으로 섬기겠다고 거듭 약속하고 나섰다. 이제야 국민들이 마음을 놓게 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그 국민 섬김의 약속을 초지일관 끝까지 지켜주기 바란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