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순네번째 생일을 맞은 윤보선 대통령은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송요찬 내각수반을 비롯한 정부관료, 그리고 각국 외교사절들의 축하인사를 받았다. 5·16 군사쿠데타가 성공하고 석달 뒤 맞은 생일 행사에 온 인사들과 정국이야기도 하지만 앞날을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즐겁지만은 않은 표정이다. 7개월 뒤인 1962년 3월22일 윤보선 대통령은 군부세력과의 의견차이로 결국 하야하게 됐다. 비상소집된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윤보선 대통령의 사임을 의결했다. 박정희 의장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겸임했다. 1963년 대통령 선거때 윤보선씨는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에 맞서 출마했지만 박정희 후보에게 15만표 차이로 패배했다.
1960년 8월 27일 "장면총리 국정연설"
제 5대 민의원 본회의장에서 장면 국무총리가 국정연설을 했다. 4·19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무너진 뒤 내각책임제 아래 제 2공화국 초대총리가 된 장면은 남북한 자유선거를 통한 통일방안과 한일국교정상화, 경찰의 중립화, 고급공무원의 재산공개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국정연설을 했다. 4·19 혁명 당시 발포자 색출과 부정축재자의 엄중 처단, 경제재건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러나 이러한 장면총리의 국정연설 내용은 8개월 뒤에 발생한 군사쿠데타로 대부분 열매를 맺지 못했다.
1996년 8월 28일 "찰스-다이애나 이혼 "
세기의 결혼식을 올렸던 영국 찰스 왕세자와 다이애나 왕세자비가 1996년 15년만에 이혼했다. 두 사람의 파경은 불륜으로 비롯됐다. 찰스 왕세자는 결혼 후에도 과거에 사귀었던 유부녀 카밀라 파커볼스와 밀애를 계속했고, 다이애나도 승마교사, 경호원과 혼외정사를 나눴다. 다이애나비는 이혼으로 215억원의 위자료를 받았다. 하지만 왕위계승서열 2위인 윌리엄과 해리왕자의 어머니로서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며 캔싱턴 궁에서 변함없이 살게 됐다. 두사람이 이혼하면서 엘리자베스 여왕의 자녀 4남매 가운데 세자녀의 결혼이 실패로 끝나고 영국왕실의 권위는 추락했다.
1980년 8월 27일 "제11대 전두환 대통령 당선"
제 11대 대통령에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이 당선됐다. 통일주체국민회의 제 7차 회의에서 실시된 대통령 보궐선거를 통해서 당선됐다. 11일전 최규하 대통령의 사임에 따른 후속조치였다. 선거에 단독 출마한 전두환 후보는 통일주체 국민회의 재적대의원 2,540명 가운데 투표에 참여한 사람은 2,525명. 이중 한표만 무효표로 처리돼 2,524명이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제 11대 전두환 대통령은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대통령에 이어 다섯 번째 대통령이 됐다. 전두환 대통령은 6개월 동안의 잔여 임기를 마친 뒤 이듬해 1981년 2월 실시한 제 12대 대통령 간접선거에서 당선돼 다시 7년 동안의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공문룡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