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시민들이 끌어낸 ‘6·29선언’
1987년 시민들이 끌어낸 ‘6·29선언’
  • 공문룡 칼럼니스트
  • 입력 2004-07-06 09:00
  • 승인 2004.07.0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87년 6월 29일 6·29 선언

87년 6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에 굴복, 이해 6월 29일 집권여당 민정당 대표 노태우씨가 ‘민주화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이는 특별 선언을 했다. 일명 6·29선언.국민들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가 거세지자, 전두환 대통령은 87년 4월 13일 일체의 개헌논의를 금지하는 ‘4·3 호헌조치’를 발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대학생 박종철씨가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국은 소용돌이에 휩싸였다.이때부터 ‘6월 항쟁’이 시작됐고,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가 연일 계속됐다. 결국 민정당 노태우 대표가 국민들의 직선제 개헌요구 등을 받아들여, 6·29선언을 발표했다. 6·29선언의 주요 내용은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년 2월 평화적 정권이양, 김대중씨의 사면복권과 시국관련사범들의 석방, 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 등 8개항.

1980년 6월 30일 "한강의 성산대교 개통"

80년 6월 30일 성산대교가 개통됐다. 서울 마포구와 영등포구를 잇는 성산대교는 1977년 4월 착공, 3년여만에 준공됐다. 성산대교는 한강의 12번째 교량으로 길이 1,410m. 너비 27m이다. 특히 트러스 공법으로 세워졌는데, 외측을 반달형으로 하여 특유의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성산대교의 개통으로 제 2한강교의 교통량 분산과, 김포공항에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1995년 7월 1일 "30여년만의 지방자치시대 부활 "

95년 7월 1일 30여년만에 지방자치시대가 부활했다. 이승만 정부이후, 줄곧 시행되던 지방자치제도가 5·16군사쿠데타 이후 단명하고 말았다. 군사쿠데타 세력은 전국의 지방의회를 일시에 해산하고 각급 지방의회의 의결사항을 상급 지방자치단체장이 집행하도록 조치했던 것이다. 그러던 중 87년 ‘6·29선언’에 의하여 지방의회의 전면구성이 새롭게 제안되었다. 하지만 노태우 대통령은 당초 약속과 달리,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다 김영삼 정권 시대인 95년 6월 27일에 역사적인 4대지방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로써 1960년대 이후 단절됐던 지방자치시대가 30여 년만에 부활했다.

1974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 발표"

1974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이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발표됐다. 이른바 ‘7·4남북공동성명’은 서울의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 평양의 박성철 제 2부수상이, 각각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비밀회동을 통해, 이뤄낸 결과. 이들은 회동에서 쌍방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하루빨리 가져와야 한다는 공통된 염원을 안고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 서로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그리고 7월 4일 통일을 위한 남북공동의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조국통일원칙으로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남북간 긴장완화와 신뢰 조성’, ‘남북간의 다방면의 교류 실시’, ‘남북적십자회담의 성사’, ‘서울과 평양간 상설 직통 전화’,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운영’ 등이다.

공문룡 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