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46호> DJ 한국 최초 노벨상 수상자 선정
<제546호> DJ 한국 최초 노벨상 수상자 선정
  • 공문룡 칼럼니스트
  • 입력 2004-10-19 09:00
  • 승인 2004.10.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92년 10월 12일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 "

1942년 10월 12일 콜럼버스 일행은 마침내 바하마제도의 와틀링 섬에 도착한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제노사이드(genocide)’였다. 또 콜럼버스에게 이곳은 ‘검은 진주(노예)’의 보고(寶庫)였다. 그가 이곳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 수천만명을 헤아리던 인디오들은 불과 150년 만에 300만명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그는 점점 잔학해져 말을 듣지 않는 인디오들의 코와 귀를 잘랐다. 1500년 스페인의 이사벨라 여왕이 그의 발목을 족쇄로 채워 본국으로 송환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그는 황금 채취가 여의치 않자 대신 원주민들을 본국으로 실어 날랐다. 그는 55세로 죽을 때까지 그곳이 인도의 일부라고 믿었다.

2000년 10월 13일 "DJ,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 "

역대 81번째, 아시아인으로서는 일곱번째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기록된 김 대통령이 노벨상에 처음 후보로 추천된 것은 1987년이었다. 빌리 브란트 전 서독 총리가 앞장서 서독 사민당 의원 73명이 추천한 것이 최초였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추천 사유는‘한국 민주화와 인권 신장을 위한 투쟁과 3단계 통일방안을 제창해 남북 평화에 기여한 공로’였다. 김대중 대통령은 그 동안 몇 차례나 수상 직전까지 갔었다. 인권 향상과 민주주의를 위한 노력의 공로로 매년 추천되어 올해까지 14회에 걸쳐 후보로 올랐다. 지난 1992년에는 남아공의 만델라 당시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장, 데 클레르크 남아공 대통령 등과 막판까지 치열한 경합을 벌이기도 했다. 이후 2000년 10월 13일 드디어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그리고 남북한 간의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1933년 10월 14일 "독일, 국제연맹과 제네바 군축회의 탈퇴 "

독일은 국내정치의 혼란 가운데에서 1933년 베르사유 체제 타파를 외치던 히틀러가 정권을 장악하고 같은 해 10월 제네바 군축회의 결과의 불만으로 국제연맹을 탈퇴하였으며, 1935년 3월에는 재군비를 선언, 1936년 3월 라인란트 비무장지대에 진주하여 로카르노 조약을 파기함과 아울러 베르사유 조약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다.이후 1936년 11월 독 ·일은 방공협정(防共協定)을 체결하였고, 1937년 11월 이탈리아가 이에 가입하여 독 ·이 ·일 3국은 반소(反蘇)를 공공연히 외쳤으며, 이것을 구실로 하여 국내에서의 파시즘화와 대외침략을 추진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똑같이 공산주의를 겁내는 미 ·영 ·불의 지배층으로부터 그 침략을 용인 받으려 하였다.

1944년 10월 15일 "독일 롬멜 장군, 강요에 의한 자살 "

1910년 롬멜은 육군에 입대하고 제1차 세계대전에는 소위로서 참전하였다(1914~1918). 전후 나치스운동에 흥미를 가진 그는 히틀러의 호감을 사 경비대장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1940년 기갑사단장으로 프랑스 전선에서 활약, 1941년 북부 아프리카로 전전(轉戰), 교묘한 작전으로 영국군을 괴롭혀 ‘사막의 여우(the Desert Fox)’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1942년 원수로 승진했으나, 1944년 독일 방위군 총사령관으로 작전지휘 중 부상, 병원에서 요양 중에 히틀러 암살 미수사건에 참여누명을 쓰고 히틀러의 명령에 의해 자살하였다.

1815년 10월 16일 "나폴레옹 헬레나섬에 유배 "

나폴레옹은 프랑스를 세계제1의 나라로 만든다는 명분으로 종신 대통령에 취임(1802)하였다.이후 황제 나폴레옹1세로 즉위한 후 많은 나라를 굴복시켰다. 그러나 영국, 프로이센, 러시아, 오스트리아 등은 대프랑스 동맹을 맺어 나폴레옹에 맞섰다.결국 나폴레옹은 트라팔가 해전, 러시아 원정, 라이프치히 전투에 져서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 한때 탈출하여 다시 황제로 즉위하였으나, 워털루 전투에 참패하여 세인트헬레나 섬에 유배된 후 사망하였다. 그 후 대서양의 세인 트 헬레나 섬에 유배되었다가 1821년 5월 5일 숨을 거두었다.

공문룡 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