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인적쇄신 소폭으로 급선회?
청와대의 인적쇄신에 제동이 걸린 분위기다. 애초 정치권에서는 한승수 총리 교체와 충청권 총리설 등 개각의 폭이 클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미디어법 통과 이후 달라진 분위기가 여기저기서 감지되고 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7월 말 청와대 개편, 8월 중순 개각 이라는 계획에서 청와대 개편은 이미 시기가 지나버린 꼴이 됐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개편이 늦어지면서 인적쇄신 폭이 적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미디어법 통과 등 국정운영에 상당한 자신감을 얻은 이명박 대통령이 여권의 인적쇄신에 대한 요구에 둔감해진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청와대의 경우 교체가 확실한 인사는 정동기 민정수석 뿐이다. 정 수석의 경우 천성관 전 검찰총장 후보자의 낙마로 인해 본인 스스로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다른 수석들의 경우는 대부분 자리를 보전할 것이란 얘기가 여권 안팎에서 퍼지고 있다.
개각의 경우도 비슷하다. 개각설이 나올때만 해도 한 총리의 교체는 기정사실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현재의 분위기는 유임론이 지배적이다.
이런 소폭 개각의 배경에는 대체할 만한 카드가 없다는게 주된 이유다. 충청권 연대론을 통해 충청총리론이 대두됐지만 자유선진당의 반응은 ‘NO’였다. 여기에 친박계 의원들의 입각도 박근혜 전 대표의 소극적인 태도로 불가능해진 게 아니냐는 것이다.
소폭 개각의 또 다른 배경에는 인사검증 시스템의 부제다. 천 전 후보자의 경우와 같이 오히려 혁신적인 인물이라며 후보자로 내놓자마자 도덕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낙마한다면 정권에 해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폭 개각을 하면 검증통과 문제도 문제지만 그럴만한 인재를 찾기 힘들다는 점도 인사폭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능력과 조직 장악력을 갖추고 도덕성까지 겸비한 인사를 후보자로 내세우지 않으면 오히려 역풍이 불 수 있다. 이를 잘 알고 있는 상황에서 대폭 물갈이는 사실상 어렵다”고 전망했다.
소폭 개각설이 대두되면서 한나라당의 움직임은 바빠졌다. 일부 의원들의 경우 이번 개각을 통해 입각하려고 했던 꿈이 좌절되는 게 아니냐며 반발했다.
친이계 의원 관계자는 “그간 대폭 개각으로 인적쇄신을 이룰 것으로 예상됐던 만큼 이에 걸맞는 인적쇄신을 이뤄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당은 물론 국민들까지도 현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다른 한 관계자도 “말도 안 된다. 당은 갖은 노력 끝에 미디어법을 통과 시켰는데 청와대의 인적쇄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후폭풍이 거셀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총리 교체 등 중폭 이상의 개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안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것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총리의 교체는 이뤄질 것이다.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개각이 필요하며 10월 재보선, 내년 지방선거를 위해서도 이번 개각은 무척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8월 3일부터 6일까지 가족들과 여름휴가를 갈 것으로 예상된다. 여름 휴가 기간 동안 개각에 대한 구상을 어떻게 정리하고 올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상준 기자 sky0705in@dailysun.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