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문화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백신 접종을 마친 어르신들이 경과를 지켜보고 있다. 60세~74세 고령층 등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 예약은 이날 종료된다. 2021.06.03. [뉴시스]](/news/photo/202106/452568_370007_543.jpg)
[일요서울ㅣ김혜진 기자] 방역 당국의 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과 관련 지침을 두고 논란이 뜨겁다. 그간 만 30세 이상으로 진행하던 잔여 백신 신청 대상자 기준을 만 60세로 변경했다.
4일 방역 당국의 잔여 백신 접종 대상자 기준 변경으로 일선 병원을 비롯해 국민들도 혼란에 휩싸였다. 질병청 측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만 60세 이상 고령층에게 우선권을 줄 수밖에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방역 당국의 지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기존 예약자들에 대한 접종 취소를 통보하고 명단에서 삭제했던 병원들도 혼란스럽기는 매한가지.
병원들이 예약자들을 취소하는 동안 방역 당국은 일선 병원과 국민들의 혼란 방지를 이유로 만 60세 이상으로 접종 대상자 변경 기준의 적용 날짜를 5일 뒤인 오는 9일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일선 병원과 국민들은 질병관리청 등 방역 당국에 민원을 제기하고 나섰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40대 A씨는 일요서울에 “인근에 있는 병원에서 잔여 백신을 접종하겠다고 예약했다”며 “백신 접종 날만을 기다렸는데, 갑자기 방역 당국이 기준을 바꾼다고 하니 소외당하는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질병청 등 보건당국의 지침 변경에 혼선을 빚은 곳은 비단 병원 뿐 아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이날 “내주로 예정됐던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 어린이집 등의 교사와 돌봄인력들에 대한 백신 접종 계획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지난 2일 교육부가 2학기 전체 학년에 대한 전면 등교 계획을 밝히면서 앞서 접종 대상자들에 대한 계획을 조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학교 현장과 교사 및 학부모들도 정부의 오락가락 지침과 부처 간 협력 기준을 두고 항의에 나섰다. 특히 학부모들로부터 학교 등으로 문의도 빗발치고 있는 상황.
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를 둔 영등포구 거주자 B씨는 “각급 학교 등 교사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야하는 중대한 사안 앞에 교육부가 학생들의 등교 결정을 내리기 전 방역 당국과 사전에 상의는 했는지 모르겠다”라며 “정부 부처 간에 중요 사항을 공유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들게 하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한편 질병청은 오는 7일부터 유치원 및 초등 1~2 학년 교사 등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던 계획을 변경해 접종 간격이 짧은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 등을 접종하기로 결정했다. 접종 시작 사흘을 앞두고서다.
김혜진 기자 trust@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