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 김정아 기자] 인류의 진화과정 속 호모사피엔스의 흔적을 공존이라는 화두를 통해 미래 진화된 관계를 엿보는 기획 특별전이 지난 5월18일부터 오는 9월26일에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전시는 인류 존재의 의미와 진화를 다루는 과정에서 다른 생명종과의 공존과정을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분석한 화석과 고고 자료 700여 점을 총 2부로 나눠 구성된다.
전시의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진화의 이해방식’을 시작으로 제1부에서는 ‘진화’를, 2부에서는 ‘지혜로운인간과 호모사피엔스’, 에필로그에서는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를 전시한다.
특히 프롤로그는 인류 기원의 진화과정을 과학적 영역에서 구체화시켜 ‘종의 기원’을 살피고 진화과정에 대한 인식의 한계를 엿보는 필트다운인 사건을 시간순으로 재구성한다. 여기서 3D모션 캡처 촬영 방식을 통해 첨단기법으로 제작한 콘텐츠 ‘700만 년 동안의 기억’을 상영한다.
전시의 과정속에서 1부에서는 700만년에 걸친 인류 진화과정을 구체화시킨다. 급변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인류가 적응하는 과정을 유전자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소개한다. 특히 루시, 네안데르탈인, 샤니다르인 등의 고인류 화석 발견 사례를 다뤄 흥미를 유발할 계획이다.
2부에 해당하는 지혜로운 인간 부분에서는 현생 인류인 호모사피엔스의 다양성을 예술과 장례, 도구, 언어와 기호, 탐험이라는 주제로 두루 살펴보는 시간을 갖는다. 여기서 프랑스 쇼베와 라스코 등의 동굴벽화 화석과 사자인간, 비너스 등의 조각품, 눈금을 새긴 돌 등을 살피는 주요 전시품과 자료를 전시한다.
특히 도구·언어·기호에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지구 종의 다양성과 공생이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실감형 콘텐츠로 꾸며진다. 구석기의 기술체계와 한반도 구석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전시공간이 별도로 구성되며 4만년 전으로 추정되는 단양 수양개 유적에서 발견된 ‘눈금을 새긴 돌’을 공개하기도 한다.
에필로그의 전시공간에서는 현생인류에 속하는 호모사피엔스의 위상과 영향력을 살피고 진화과정에서 나가야 하는 방향성을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특히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전곡선사박물관의 협업으로 3프린팅과 모션 캡처 영상물을 적용해 영상물과 함께 전시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전시 관계자는 “전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정아 기자 jakk3645@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