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석 교수의 서울시평] 文 대통령의 “기업인 경의”표출 정책으로 이어져야
[정용석 교수의 서울시평] 文 대통령의 “기업인 경의”표출 정책으로 이어져야
  • 정용석 교수
  • 입력 2021-05-21 20:17
  • 승인 2021.05.21 21:54
  • 호수 1412
  • 13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5월13일 경기도 평택의 삼성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불확실성에 맞서...선구적인 투자에 나서주시는 기업인들의 도전과 용기에 경의를 표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기업의 노력을 확실하게 뒷받침 하겠다”고 약속했다. 기업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는 문 대통령의 말은 몇 년 전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금할 수 없게 한다. 지난 날 그는 기업인들을 “청산해야 할 적폐”로 몰아세웠다.
 

문 대통령은 2017년 1월 더불어민주당의 전(前) 대표로 재벌공약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그는 “재벌 개혁 없이 경제민주화도, 경제성장도 없다.”며 “재벌 적폐를 청산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취임 6개월만인 2017년 11월 국회 시정연설에서 “재벌과 대기업 중심의 경제는 더 이상 우리의 미래를 보장하지 못한다.”며 좌편향 운동권식 반기업을 선언했다. “사람중심 경제로 우리 경제의 패러다임(모형)을 바꾸겠다.”고도 했다. “소득주도 성장” 패러다임으로 바꾸겠다는 말이었다. 하지만 ‘소득주도 성장’은 1950년대의 경제개발 이전 단계에서나 적용될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발전된 개방경제에선 성장 아닌 위축을 자초한다. “중남미형 좌파정당”의 구호라고 비판되기도 한다.
 

문 대통령의 반기업 편향은 그가 2017-18년 내리 2년 동안 경제계 최대 연례행사인 대한상공회의소 주최 신년인사회에 불참한데서도 드러났다. 문 정권의 공정거래위원장은 2019년 4월 당정협의회에서 “여당이 왜 이렇게 기업걱정을 합니까?”라며 반기업 감정을 서슴없이 내뱉었다. 대기업인의 상징인 이재용 심상전자 부회장은 문 정권의 기업인 적폐 청산 압박속에 불법 경영권승계 혐의 등으로 수감-석방-재수감의 고초를 겪고 있다. 그런가하면 문 대통령은 2020년 5월 “노동자는 이제 우리사회의 주류”이며 “중심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의 소득주도 성장과 반기업-친노동 정책은 한국 경제를 외환위기 이후 최악 상태로 빠트렸다. 여기에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019년 9월 “우리 경제는 버려지고 잊혀진 자식 같다.”고 개탄했다. 임창열 전 경제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지금 서서히 죽어가는 암에 걸려있다.”고 경고했다. 작년 부터는 코로나19 까지 덮치면서 건국 이래 최악 상태로 추락했다.
 

한국경제가 죽어가게 되자 그제 서야 문 대통령의 좌편향 운동권 의식은 달라지기 시작한 듯 싶다. 그는 작년 5월 “정부와 기업은 지금 한 배를 타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있다.”며 기업을 동반자로 띄웠다. 기업인들의 과감한 투자와 용기에 경의를 표한다고도 했다. 뒤늦게나마 사활을 건 기업의 투자 긴요성을 감지한 것 같다. 기업이 투자하지 않으면 일자리도 없다는 경제법칙을 체감한 듯 싶다.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로 그치지 않는다. 그들이 과감히 투자해 생산하는 바이오·배터리·반도체칩(B.B.C) 등은 대통령의 외교를 뒷받침하는 카드로도 이용된다. 기업인들이 반성해야 할 점도 적지 않다. 하지만 그들은 규제돼야 하고 배척돼야 하며 청산돼야 할 악이 아니다. “한 배를 타고” 가는 동반자이다.

 

문 대통령의 기업인에 대한 동반자 표출은 시기적으로 늦었다. 대통령 취임 초부터 그랬어야 했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라는 법언(法諺)을 상기케 한다. 그러나 이제부터라도 문 대통령의 기업인 경의 표시는 구두선으로 그치지 말고 경제를 도약시킬 수 있는 정책으로 이어져야 한다. 문 대통령이 공언한대로 “기업의 노력을 확실히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동시에 문 대통령은 그동안 의존해왔던 운동권 출신 참모들의 반기업과 시대에 역행하는 소득주도 성장론의 적폐를 직시, 대안 강구에 적극 나서야 한다.  

■ 본면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용석 교수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