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 ENM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35.7% 증가해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TV 광고 매출과 티빙 등 디지털 기반 매출 고성장이 성과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CJ ENM은 한국채택국제회계(K-IFRS) 연결기준으로 올해 1분기 매출 7919억원, 영업이익 936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35.7% 증가했다.
미디어 부문은 매출 386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83.6% 고성장한 538억원으로 사상 최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1분기에는 역대 tvN 시청률 6위를 기록하며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빈센조', 예능 '윤스테이' 등 화제성 높은 콘텐츠에 힘입어 TV 광고 매출이 전년 대비 24.5% 증가했다.
2분기에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등을 통해 신규 콘텐츠 화제성을 극대화하고,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인 신서유기 스페셜 '스프링 캠프' 등을 통해 디지털 매출 기반의 성과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 3308억원, 영업이익 337억원, 취급고 9832억원을 기록했다. 패션·뷰티·가전 등의 수요가 줄며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0% 감소했지만, 디지털 및 T커머스 취급고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9.3%와 20.2% 성장했다. 전체 취급고에서의 디지털 비중은 53.2%로 전 분기에 이어 절반을 넘겼고, '시크릿'·'앳센셜' 등 자체브랜드 취급고 비중은 10.2%를 기록했다.
특히 ‘CJ온스타일’ 론칭과 함께 라이브커머스를 강화하고, 패션·리빙·뷰티 3대 플래그십 스토어 중심으로 상품 및 플랫폼 경쟁력을 높여 고객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건강식품·리빙 중심의 자체브랜드 라인업 확장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사업 경쟁력을 키워갈 계획이다.
음악 부문은 전년 대비 30.9% 증가한 522억원의 매출과 6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온라인 K-컬쳐 페스티벌 등 자체 아티스트의 온라인 콘서트 확대로 콘서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8.9% 증가했고, 해외 유통을 포함한 음반·음원 매출도 수익성 증가에 기여했다.
영화 부문은 매출 227억원, 영업손실 1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신규 작품 개봉이 지연되면서 극장 매출이 감소했으나, 주문형(On-Demand) 영화 수요 증가로 기존 라이브러리 중심 부가 판권 매출이 직전 분기 대비 40.5% 증가하며 성과에 기여했다. 극장‧OTT 동시 개봉 등 유통 플랫폼 유연화 전략에 따라 영화 '서복'에 이어 하반기에도 영화 '해피뉴이어'를 티빙과 극장에 동시 공개할 예정이다.
CJ ENM 관계자는 "1분기에는 티빙의 오리지널 콘텐츠 공개, 라이브커머스 중심의 통합브랜드 'CJ온스타일' 론칭 발표 등 디지털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 나갔다”며 “디지털 시프트 기반의 혁신 속도를 가속화 하고 콘텐츠 및 상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성장세를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최진희 기자 cjh@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