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의 조사에서 확인된 주사기 내부에 이물질이 보인다. [식약처]](/news/photo/202104/450346_367518_744.jpg)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 정부의 진행 방식과 소통에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최근 이물이 든 주사기가 지역 예방접종센터 사전점검 과정에서 발견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질병관리청 등이 원인조사에 나섰으나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식약처의 뒤늦은 청와대 보고와 함께 청와대의 대국민 발표 역시 지난 4.7 재보선을 염두에 두고 공개를 미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다만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현장 대응이 우선이었다는 해명도 나왔다.
방역당국, ‘이물 주사기’ 회수 및 폐기 등 국민 안전상 현장 대응 우선
식약처, 백신 접종 시 내부 이물질 주사기 밖으로 사출 될 가능성 낮아
지난달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이 방역당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식약처 등이 지난 3월15일 청와대에 이물이 든 최소잔여형주사기(LDS)에 대해 보고했다고 밝혔다.
식약처가 해당 주사기에 대해 신고를 접수받은 시기는 이보다 앞선 2월27일 이었으므로, 신고 접수 후 보름을 훌쩍 넘기고 나서야 청와대에 보고한 것. 이후 청와대에 알리고 나서 부랴부랴 해당 주사기 70만 개의 사용을 중지하고 회수 조치에 나섰다.
재보선 전 주사기 ‘이물’ 알고도 늑장 공개
하지만 이물 주사기의 회수 조치 내용이 언론에 공개된 것은 지난달 17일로 청와대 보고일로부터도 이미 한 달이나 지난 시점이다. 청와대가 지난 4.7 재보선을 염두에 두고 발표를 미룬 것이라는 주장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4.7 재보선을 앞두고 선거 운동이 한창이던 당시 여‧야 간의 접전과 팽팽한 신경전이 펼쳐지면서, 여당 소속 후보였던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우리 정부가 국산 LDS 주사기로 백신 1병당 접종 인원을 늘릴 수 있게 됐다’는 내용으로 K주사기의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이에 조명희 의원은 “정부가 극찬한 ‘K주사기’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4.7 재보선에 영향을 줄까 우려해 발표를 미뤘다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할 정부가 정권의 이익을 우선하면 안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역당국, 회수 및 폐기 “현장 대응 우선”
일요서울이 직접 확인한 결과, 논란이 된 70만 개의 A사 주사기는 전량 회수 및 폐기 조치됐으며, 현재 A사의 주사기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용으로는 유통되지 않고 있다. 해당 주사기 거래 및 유통은 질병청 주관 하에 업체로부터 현장 예방접종센터에 직접 전달된다. 이물이 든 주사기가 보고되자마자 질병청 등 방역당국은 해당 업체와 함께 전량 회수를 진행했다.
질병청 역시 해당 주사기는 사용되지 않았다고 해명에 나섰다. 다만 정은경 질병청장은 “혹시라도 사용됐을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지적할 수는 있다”면서도 “주사기의 바늘 굵기가 굉장히 가늘어 이물질이 주입될 가능성은 굉장히 낮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해당 건이 법령상 공표 대상이 아니라서 별도로 발표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향후 법령상 공개 대상 여부를 떠나 코로나19 등 주요 백신 접종과 관련 사항들에 대해서는 적극 공개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한편 이물이 든 주사기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자 식약처와 질병청 등 방역당국과 관계 부처들이 일제히 사실 확인 및 현장점검에 나섰다. 지난달에도 약 4곳의 주사기 업체로부터 이물 포함 주사기가 있다는 사실을 보고받고 식약처는 해당 주사기에 대한 실험 진행 결과, 주사기 내부의 이물이 백신 등 주사액과 함께 배출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이창환 기자 shine@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