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손잡고 탄소중립 혁신기술 연구개발과 상용화에 나선다.
LG화학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29일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기술인 CCU(탄소포집활용), 수소 에너지 등 관련 기술의 공동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CCU와 수소에너지 기술 관련 ▲상용화 추진 ▲원천기술 연구개발 ▲인재육성 등 3개 분야에서 밀접하게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상용화 부분에서는 ▲CO₂(이산화탄소)를 전환해 고기능성 생분해 플라스틱, CO(일산화탄소)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 ▲CO₂ 배출이 없는 그린 수소 생산 및 원료, 열·전기에너지 활용 등 시너지가 기대되는 분야부터 가능성을 검토하고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LG화학 관계자는 “CO₂로 전환해 생산할 수 있는 고기능성 생분해 플라스틱은 환경 친화적이며 생분해되는 특성까지 갖고 있어 상용화된다면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은 물론 폐플라스틱 문제까지 해결된다”며 “CO를 활용하면 화학제품의 원료가 되는 합성가스(syngas) 등을 생산할 수 있게 해 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CO2 발생이 없는 그린수소 생산, 화합물을 이용한 안전한 수소 생산 및 원료, 열·전기에너지 활용 등과 같은 전주기 수소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이 외에도 핵심 소재 및 공정 개발을 위한 AI(인공지능)와 DX(디지털전환) 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ESG 기반 사업 구조로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는 LG화학과 한국형 R&D 수행 체계로 개편하고 있는 KIST는 탄소중립을 위한 원천기술 연구개발을 위해 국책과제 공동참여, 공동연구소 설립, 위탁 연구과제 등을 통해 긴밀한 협력 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LG화학 연구원의 KIST 학위 파견 프로그램 개발, 연구과제에 참여한 KIST 연구생의 LG화학 채용 등을 통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LG화학 CTO 유지영 부사장은 "KIST와 업무협약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연구개발이 필요한 CCU, 수소 에너지 관련 원천 및 상용화 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며 “LG화학은 KIST와 협력해 관련 혁신기술을 고도화하는 등 ESG 경영을 더욱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진 KIST 원장은 "LG화학과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원천기술들의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진희 기자 cjh@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