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화웨이' 불똥 'LG유플러스'... "화웨이 쓰면 미군 철수" 경고
또 '화웨이' 불똥 'LG유플러스'... "화웨이 쓰면 미군 철수" 경고
  • 이범희 기자
  • 입력 2020-12-17 10:13
  • 승인 2020.12.18 18:59
  • 호수 1390
  • 34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LG유플러스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미국 의회가 내년도 국방예산을 짜는 국방수권법안에 중국산 통신 장비를 쓰면 병력 파견이나 군사장비 제공을 재검토하겠다는 내용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지난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현재 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등 국내 유선망 업체들은 모두 화웨이 장비를 사용 중이다. 하지만 미국 의회가 문제 삼은 5G와 6G 네트워크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한 업체는 LG유플러스뿐이다.  SK텔레콤과 KT는 이동통신망이 아닌 유선망에 화웨이 장비 사용 중으로 이번에 미국 의회가 문제 삼는 장비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미 국무부, "LG유플러스, 화웨이 얼른 벗어나라" 경고 
"보안 철저히 준비..미군 기지 주변 지역도 화웨이 안 써" 


외신에 따르면 미국 의회는 중국산(화웨이, ZTE) 5G 장비를 사용하는 국가에 미군 부대나 주요 무기체계 배치를 재검토하는 조항이 담긴 법안 표결을 앞두고 있다. 미국 국방장관은 문제가 있을 경우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1년 내에 의회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에서도 이러한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2013년 바이든은 부통령 신분으로 방한해 당시 정홍원 국무총리에게 화웨이의 한국 무선 네트워크 사업 진출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고심 깊어지는 LGU+

이에 4G와 5G 기지국의 일부 장비를 화웨이 장비로 사용하는 LG유플러스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LG유플러스가 구축한 롱텀에볼루션(LTE) 망 가운데 화웨이 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30%다. 

미 의회의 법안이 현실화된다면 미군이 3만명 가까이 주둔 중인 한국도 '미군 주둔 고려' 조항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그간 미국 행정부는 여러 차례 한국을 포함한 우방국가에 중국의 5G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요구해왔다.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5G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미국을 포함한 각국의 기밀이 새어나간다고 본 것이다. 

앞서 지난 7월 로버트 스트레이어 미국 국무부 사이버·국제통신정보정책담당 부차관보는 "우리는 LG유플러스 같은 기업들에 믿을 수 없는 공급업체에서 믿을 수 있는 업체로 옮기라고 촉구한다"며 "우리는 이를 심각한 안보 사안으로 여긴다"고 말한 바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같은 시기국내 이동통신사 가운데 SK텔레콤과 KT가 중국 장비를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깨끗한 통신사"라고 평가하며 LG유플러스는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만약 미국의 요구대로 LG유플러스가 화웨이 장비를 걷어내려면 최소 수조원대 비용이 예상된다. 교체 과정에서 불가피한 통신서비스 제한으로 가입자 유출도 우려된다. 단순한 이익 차질 수준을 넘어, 생존의 위기도 될 수 있기에 LG유플러스로서는 극적으로 미중 갈등이 풀리기만을 기대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이상철 전 LG유플러스 부회장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부회장을 지낼 당시 화웨이 LTE 장비를 도입했던데다 이 전 부회장이 LG유플러스를 떠나 화웨이 총괄고문에 취임했다는 점에서 이 전 부회장에 대한 책임론도 거론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 전 부회장이 화웨이 총괄고문을 1년여간 지낸 것은 맞지만 현 사안과는 관련이 없는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LG유플러스 측은 5G 핵심 코어장비에는 화웨이 제품이 들어가 있지 않아 네트워크 보안성에 문제가 없다고 확언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미 구축된 화웨이 장비를 모두 걷어내고 다른 장비로 재구축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추가 구축에서도 호환성 때문에 화웨이 장비를 배제하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미군 보안 이슈에 대해서는 "서울 수도권의 미군 지역에는 이미 LTE 때부터 에릭슨 장비를 구축해, 화웨이 장비가 전혀 들어가 있지 않다"면서 "일반 망의 화웨이 장비에 대해서도 보안 검사를 강화하고 검증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수년 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가 결과적으로 롯데그룹 경영에 막대한 피해를 안겼듯, 자칫 화웨이 금지 요구가 '제2의 사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진다.

한편 업계는 사업자가 아닌 정부가 나서야 할 상황이라고 주장한다. 앞서 화웨이 배제를 결정한 영국과 호주의 경우 모두 정부가 전면에 나서 화웨이 장비 금지를 결정한 바 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미국의 화웨이 제재 동참 여부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범희 기자 skycros@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