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기사 삭제 안하면 윤전기에 모래를 ‘확’~
문제기사 삭제 안하면 윤전기에 모래를 ‘확’~
  •  
  • 입력 2003-09-26 09:00
  • 승인 2003.09.2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원 안정법 제정 검토’기사 문제돼 안기부 출동 민정당내 ‘비둘기파’와 ‘독수리파’ 권력게임 산물권력재창출을 둘러싼 ‘매파’와 ‘비둘기파’의 전쟁 1985년도 일이야. 학원 안정법 사건으로 남산에 연행된 적이 있어. 그날은 마침 월급날이어서 주머니가 두둑했지. 대충 왜 잡아가는지는 알고 있었어. 아침 석간 1판을 찍자마자 난리가 났으니까.‘윤전기가 돌기 시작했다는 보고를 받고 편집국에 있던 몇 사람과 점심을 하러 나갔어. 그런데 채 밥숟갈도 들기 전에 청와대에서 찾는다는 황급한 전갈이 오는 거야. K비서관이 흥분된 목소리로 “XX신문, 살리려고 하십니까 죽이려고 하십니까” 하고 흥분이야. 그날 1면 톱에 나간 <학원 안정법 제정 검토>가 문제가 된 거야. 기사 전면 삭제하라는 요구였어.나는 설득을 했지. “정권에 불이익을 주려고 쓴 것도 아니고 이런 법을 여당이 입안중이라는 사실 보도에다 그 입법취지를 쓴 것인데 왜 그러느냐. 조정해도 2판부터 해 보겠다”고 그랬더니 이 친구 길길이 뛰는 거야.

그러다가 “윤전기에 모래를 확…” 어쩌구 하면서 전화를 끊어버려.참, 어이가 없더군. 바로 직전까지 이 신문사에서 정치부장을 했다는 친구가 권력 집안의 ‘마름’이 되더니 아예 뵈는 것이 없나 했는데, 그예 안기부가 ‘출동’한 거야. 기자고 편집국장이라고 해서 전혀 업그레이드된 대접을 해 주지 않는다는 소문이야 익히 알고 있었어.아마 들어가자마자 조사관은 소지품 내 놓으라 할 것이고 주머니에서 월급(여름 보너스까지 합쳐 상당한 액수) 받은 돈 나오면 잡담 제하고 주먹부터 날아올 거라 상상했어. “이거 돈 잘 먹는 놈 아냐!” 하고 몇 대 쥐어박고 시작해도 그만이니까. 아마 그런 의식 속에는 평소의 촌지 관례가 죄의식으로 잠재되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돼.어쩌면 그것이 긍정적인 것이든 부정적인 것이든 ‘도대체 권력이란 무엇이냐’ 하는 생각을 심각하게 하기 시작한 게 그날 밤부터야.

처음에는 ‘학원 안정법’같은 게 세상에 알려지는 게 권력으로 보아서는 이익이 될 것 같지 않으니 나를 잡아왔구나 이렇게 생각되었어. 학생들이 알면 화염병 던지고 할 터이니까. 아마 대통령 권력을 보위하는 쪽은 그러니까 정무 비서관 K는 그런 취지였을지 몰라.그러나 ‘남산’의 조사과정에서 그런 권력과 보도의 단순한 갈등관계가 아닌 다른 측면을 보았어. 이 작은 사건에 상당히 거창한 정치적 의미가 숨어 있다는 사실 말이야. 처음에야 형식대로 ‘나는 일천구백삼십칠년 구월 십일 서울 종로구 체부동 일백삼번지에서 태어나… 어쩌구’하고 예의 고백문을 써 내려갔지만 이건 어떤 시나리오의 도입부에 불과했지. 당시 집권 여당인 민정당은 한창 권력 승계문제로 내부갈등이 심각했어. 이른바 ‘비둘기파’와 ‘독수리파’의 대결이야. 한 번 잡은 정권 다른 세력에 넘겨줄 수 없으니 환경과 여건을 모두 그 쪽으로 몰아가자는 게 독수리파야. 예컨대 “다음 대통령도 유권자 투표가 아닌 통일회의 대의원으로 체육관에서 뽑자, 안보를 더욱 강화하고 화염병만 던지는 데모꾼들이 장악하고 있는 학원에는 강력한 안정법으로 대처한다” 뭐 이런 식이라. 그 세력의 보스는 역시 안기부장 장세동이었어.

나중 금강산 댐 건설 계획이 나오자 ‘아하’ 했지.반대쪽엔 온건파 이종찬이야. “학생도 설득하고 대통령선거도 국민이 납득하는 쪽으로 가야하고 정치는 카키색 그룹보다는 여의도 그룹 쪽으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이었어. 물론 정권은 안 바뀐다는 전제 아래지.어떻게 보면 찻잔 속의 태풍일 수도 있어. 그러나 후계 대통령의 꿈을 꾸고 있던 당사자들에겐 이건 죽기 살기 게임이야. 독수리들은 일단 이 보도 사건을 비둘기 떼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라고 보았어. 강경노선을 미리 방해하기 위한 공작으로 학원안정법을 슬쩍 흘렸다는 가설을 만들어 조지고 들어가자는 것이야.그러니까 그 소스가 이종찬 라인에서 흘렀다는 사실만 만들어 내면 되는 거지. 여러 기자들과 데스크들이 곤욕을 치렀어. 하지만 그런 의도는 소스 자체가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나자 흐지부지되었어.사실 그 기사는 보도가 당시로는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안 한 것은 아냐. 그러나 그 며칠 전 노신영 국무총리와 점심을 하는 중에 힌트를 하나 얻었던 거야.

노총리는 자신도 해 보았지만 안기부장의 역할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총리실의 의전이나 행정에 비능률적인 면이 얼마나 많은지를 이야기했어. 그러다가 시국에 관한 의견을 묻더니 마지막에 이런 소리를 하는 거라. “우리(정부 혹은 권력)도 가만히 있지는 않는다, 곧 결심을 한다, 두고 보면 안다” 그러더군. ‘아하, 무엇인가 움직임이 있구나’ 하고 기억 속에 접어 두었지. 그리고 사회부의 K기자가 특종을 해 오자 ‘이거다’ 했지.사실 정치권력은 반대 세력과의 쟁투가 아니라 그 세력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대립을 파악하고 이해할 때 그 본질을 탐색해 낼 수가 있어. 표면에 깔린 것을 쫓다가 보면 그 본질을 놓치게 되는데, 그게 한국 언론들의 공통된 함정이지.<다음호에 계속>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