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021년도 예산안 6조 6천201억 원 편성
대전시, 2021년도 예산안 6조 6천201억 원 편성
  • 최미자 기자
  • 입력 2020-11-11 15:31
  • 승인 2020.11.11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반회계 규모는 4조 7천150억 원으로 금년대비 2천968억 원(6.7%) 증가

일반회계 4조 7천150억 원, 특별회계 9천669억 원, 기금 9천383억 원 규모

[일요서울l대전 최미자 기자] 대전시는 올해 6조 7천827억 원 보다 1천626억 원 감소한 6조 6천201억 원의 2021년 예산안을 편성했다.

시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재정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예산을 배분하고, 지역경제 회복과 서민생활 안정에 최우선, 시민약속사업의 실질적 추동력 확보와 4차 신성장산업, 대전형 뉴딜사업에 중점 투자한다고 밝혔다.

2021년 예산안은 일반회계 4조 7천150억 원, 특별회계 9천669억 원, 기금 9천383억 원으로, 금년 대비 일반회계 2천968억 원(6.7%), 특별회계 37억 원(0.4%)이 증가하고 기금은 △4천631억 원(33.0%↓) 감소한 규모다.

분야별로는 복지예산이 올해 대비 1천671억 원 증가한 2조 1천875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38.5%)을 차지했으며, 경제 분야중 산업·중소기업 분야는 올해 대비 1천562억(81.6%) 증가한 3천475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분야별 주요예산 편성안 지역경제 분야는 산업·중소기업 육성과 소비촉진, 과학기술 육성 부문에서 크게 증가해 지역화폐발행 1천323억 원, 전통시장·상점가 현대화 및 주차장 개선 105억 원, 중소기업 경영안정 자금 및 창업 이차보전 80억 원, 소상공인 경영개선자금 76억 원, 전국기능경기대회 지원 84억 원 등 투자로 경기 회복과 소비촉진, 서민생활 안정을 도모한다.

대덕특구융합혁신 연구센터 190억 원, 바이오 메디컬 규제자유특구 혁신 74억 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 66억 원, 수소산업 제품 안정성 지원센터 구축 55억 원 등 新산업 성장 동력기반 조성 및 미래 먹거리 창출 등에 중점을 뒀다.

또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332억 원, 대전산업단지 서측진입도로 70억 원, 대전드림타운 건립 173억 원, 사회적 경제혁신타운 조성 43억 원 등 SOC사업에도 적극 투자한다.

사회복지분야는 금년 대비 8.3%(1천671억원) 증가한 2조 1천857억 원을 계상해 전체분야 규모의 38.5% 수준으로 기초연금 4천122억 원, 기초생활 생계급여 1천880억 원, 영유아보육료 1천652억 원, 아동수당 804억 원, 장애활동지원은 836억 원으로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예산에 우선적으로 안배했다.

보건․환경보호 분야는 금년 대비 11.1%, 614억원이 증액된 6천162억 원으로, 국가예방접종 실시 151억 원, 전기자동차 보급 660억 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272억 원,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101억 원 등 친환경 도시 건설에 중점을 뒀다.

문화․관광 분야는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 100억 원, 제2 시립도서관 건립 65억 원, 학교다목적체육관 건립 65억 원, 학교무상급식 지원 451억 원 등 문화․예술 및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투자해 시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교통 및 물류분야는 도시철도2호선 건설 150억 원을 비롯하여 시내버스 재정지원 750억 원, 외삼~유성복합터미널 도로건설 180억원, 서대전 IC~두계3가 도로확장 97억 원,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 105억 원을 반영했다.

끝으로, 일반행정 및 공공질서 안전분야는 대전국제컨벤션센터 건립 539억 원,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 67억 원, 재난관리기금 전출 200억 원, 중부소방서 신축 53억, 균형발전기금 적립 50억 원을 반영했다.

유득원 대전시기획조정실장은“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재정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빠르고 강한 지역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 서민생활 안정을 최우선으로, 도시철도 2호선과 베이스볼 드림파크 등 시민약속 사업과 대전형 뉴딜사업의 실질적 추동력을 확보하고,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사업 투자확대와 주민자치 기반 강화를 통해 적재적소에 재원을 투입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최미자 기자 rbrb34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