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대전 최미자 기자] 대전시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지원 사각지대 특별지원대책 브리핑을 가졌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8일“지난 3월, 취약계층의 민생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위한 1차 경제대책을 발표했고, 4월에는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한 2차 경제대책을 통해 고용안정화와 중소기업 등을 지원해 왔다”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최근 발표한 정부 지원 대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특별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원 대책은 사각지대 현금지원, 한계기업의 생존보장, 지속가능한 고용안정, 경기활력을 위한 기반구축을 4대 전략으로 19개 과제 총 1천269억 원 규모로 추진한다.
먼저, 정부지원에서 제외되는 매출감소 소상공인에 대해 100만원씩을 지급한다.
다만,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에서 제외되는 사행성 및 전문 업종과 작년에 비해 매출이 증가한 업체는 제외된다.
코로나19 방역차원에서 집합금지 되었던 고위험시설 12개 업종은 정부지원과 별도로 대전형 집합금지업종 1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거리두기에 따른 이동 제한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피해가 두드러진 전세버스 운수종사자와 관광사업체에도 각각 100만원씩 지급한다.
단, 정부와 대전형 지원과는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함께 시는 위기 한계에 다다른 중소기업을 위해 500억 원 규모의 경영안정 특례자금을 신설하고, 13억 원을 투입해 이자 차액도 지원한다. 착한임대인에 대한 세제 감면도 연말까지 연장한다.
소상공인 신규 고용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1천명에서 1천500명으로 확대하고, 고용유지를 위한 사회보험료 등의 납부에 사업주 부담이 없도록 총 158억 원을 지원한다. 고용유지 상생협약 참여 중소기업도 현재까지 체결된 800개에서 1천200개로 확대해 고용유지에 함께 해 준 기업들에게 40억 원을 추가해 최대 120억 원 규모의 특별재정을 지원한다.
집합금지와 영업시간 제한조치로 업소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던 고위험시설 12종과 종교시설‧학원 등 다중이용시설, 일반‧휴게음식점에 대해서는 별도로 20만원 상당의 방역물품도 지원한다.
이밖에도 11월 초 예정인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맞춰, 온통대전 할인을 최대 25%까지 확대해 소비촉진 시책을 추진하고, 여러 상황을 판단해, 연말연시에 대규모 온통세일 행사도 계획하고 있다.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에 맞춘 온통대전 쇼핑몰을 구축해 온라인 시장 진출을 돕고, 중개수수료와 카드수수료를 일정 수준으로 정하는 배달 플랫폼을 구축해 11월 중 문을 열 계획이다.
또한, 네이버와 협업해 전통시장이 네이버에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로컬푸드 직매장도 온라인 쇼핑몰을 운해 비대면 판로를 지원한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지역 소상공인 빅데이터를 구축해 기초현황 관리와 분석을 통해맞춤형 정책지원으로 지속가능한 골목상권을 보호해 나갈 방침이다.
허 시장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피해가 상당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모든 수단을 가용해 필요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의 방법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미자 기자 rbrb344@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