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물질적 근대화와 정신적 근대화의 조화로운 성취를 이룩하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가운데 ‘다원적 자본’이라는 개념을 발견하게 됐다. 다원적 자본이란 자본주의사회에서 자본적 기능을 하는 요소가 다원화되어 감으로써 발생한 새로운 개념이다. 물질적 화폐자본 뿐 아니라 비물질적 자본, 예를 들면 지식자본, 인적자본, 신용자본, 사회적 자본 등을 모두 포함하여 다원적 자본이라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다원적 자본의 개념 정립에 이어, 다원적 자본을 축적해 나가는 방법론, 국가적 차원에서 다원적 자본의 확충에 관하여 탐구했다. 또한 개인적 차원에서 다원적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인간이 어떻게 정신적 풍요와 물질적 풍요의 조화로운 성취를 이룩할 수 있는지 그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역점을 두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는 물질적 근대화와 정신적 근대화의 조화로운 성취를 이룩하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근창 (지은이)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