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업계 최초 독자적 LNG 액화 기술 선급 인증
삼성중공업, 업계 최초 독자적 LNG 액화 기술 선급 인증
  • 이창환 기자
  • 입력 2020-09-01 10:12
  • 승인 2020.09.01 1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ABS 설계 인증(DDA), 해외 ENG社 의존 기술 자립 성공
삼성중공업이 업계 최초 천연가스 액화 공정 관련 독자적 기술·개발에 성공하면서 미국 선급 ABS로부터 인증을 획득했다. 사진은 삼성중공업의 FPSO(해양 원유 생산 설비)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업계 최초 천연가스 액화 공정 관련 독자적 기술·개발에 성공하면서 미국 선급 ABS로부터 인증을 획득했다. 사진은 삼성중공업의 FPSO(해양 원유 생산 설비)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조선업계 최초 대형 해양 설비의 핵심인 ‘천연가스 액화공정’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와 관련 미국 선급인 ABS로부터 상세 설계 인증(Detailed Design Approval)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그간 원천 기술을 보유한 해외 선진 엔지니어링사의 의존에서 벗어나 기술료 지급, 장비 선정 제약 등으로 발생했던 비용의 절감과 독자적인 액화 공정 설계가 가능한 EPC(설계‧조달‧시공) 회사로서의 위상이 한층 강화됐다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천연가스 액화공정은 상온에서 냉매를 이용해 기체상태의 천연가스를 영하 160도 이하로 냉각해 액화시킴으로써 보관 및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액화천연가스(LNG) 관련 핵심 기술이다.

특히 이 기술은 액화 과정에서 정교한 설계가 필요해 미국, 호주 등 해외 일부 선진 엔지니어링사만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2018년부터 친환경 LNG 수요와 공급 증가를 예상하고, 세계 최초·최다(3기) FLNG(해양 LNG 액화‧저장 설비) 건조 경험 등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에 힘써 온 결과, 경제성 높은 독자 액화 공정을 3년 만에 개발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메탄(CH₄)과 질소(N₂)를 냉매 가스로 활용하고 팽창 공정의 세분화와 냉매 양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 가스 팽창 액화공정 대비 1톤의 LNG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전력소모를 최대 13%까지 낮추게 됐다. 

업계는 ​이번 인증으로 삼성중공업의 LNG 분야 기술자립이 고도화되고 설계, 구매 비용을 최적화함으로써 LNG 밸류체인 제품의 수주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풀이했다. 
 
매튜 트램블레이(Matthew Tremblay) 미국 ABS 글로벌 해양 사업 담당 대표는 “삼성중공업의 액화 공정 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안전성, 효율성, 환경친화성 등 LNG 기술 선진화를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정호현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은 “삼성중공업이 업계 최초로 LNG 액화 공정기술을 자립화한데 의미가 있으며 해양개발 설비의 핵심인 탑사이드 독자 설계 능력을 FPSO(해양 원유생산 설비)에서 FLNG까지 확대함으로써 해양플랜트 시장에서의 입지가 더욱 탄탄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shine@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