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상북도가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고자 경북형 일자리모델 중 하나인 ‘경북수출일자리플러스원(+1)’사업을 2017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9개 그룹 84개사를 사업대상으로 선정해 수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18일 도에 따르면 ‘경북수출일자리플러스원(+1)’은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혁신활동이 활발하다는 점을 감안해 자동차부품, 기계, 식품, 농자재, 화장품 등 각 분야별 대표기업들을 선발해 공동 해외마케팅 활동과 수출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함으로써 신규 일자리로 연계되는 효과가 기대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분야별 수출유망기업과 초보기업을 공동그룹으로 구성․운영함으로써 선두주자가 후발기업의 수출성공을 견인하고, 해외수출 확대를 위한 공동사업을 통해 참가기업의 수출역량 강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올해는 각 그룹별로 3천만원에서 8천만원까지 총 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계획이며, 연말까지 해외시장 조사부터 수출 시제품 및 외국어 동영상 제작, 수출브랜드 개발 등의 인프라 지원과 함께 코로나19로 대면 마케팅이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해외바이어와의 온라인 수출상담회, 해외공동판촉전, 글로벌 온라인플랫폼 진출 등 비대면 위주의 공격적인 해외마케팅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에는 9개 그룹 66개사가 해외전시회 및 무역사절단 참가를 통해 만난 바이어와의 수출계약으로 생산과 영업분야에서 6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김호진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 “수출을 잘하는 중소기업은 생산관련 인력 뿐 아니라 마케팅 분야 우수인재 채용을 선호하는 등 일자리 창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도내기업의 수출확대는 일자리와 직결되므로 이번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위기를 돌파하고 기업의 질적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함께 연계하는 선순환 구조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