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대전 최미자 기자]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20일 대전 서구 가정집에서 발견된 유충을 국립생물자원관에 의뢰한 결과 나방파리 유충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주로 화장실, 다용도실 등 습기가 많은 곳에서 발생하는 나방파리는 하수구 등에서 성충으로 올라오면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고인 물에 알을 낳아 번식한다.
이 때문에 간혹 수돗물에서 나온 유충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수돗물에는 염소 소독 후 남은 잔류염소 때문에 살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인천 공촌 정수장 입상 활성탄에서 유충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송촌정수장에 대해 지난 17일 금강유역환경청 및 한국수자원공사와 합동으로 정수처리 공정에 대해 점검하면서 입상 활성탄 내부 시료를 채취해 정밀검사를 했으나 유충 등 이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송촌정수장은 창문과 출입문에 방충설비를 설치하고, 연중 오존처리시설을 가동해 벌레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유충 발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입상 활성탄 여과지의 세척주기를 6일로 단축, 오존과 염소 투입률을 상향 조정하는 등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모래사 여과지를 사용해 합동점검에서 제외됐던 월평과 신탄정수장은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자체점검을 통해 여과지가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송인록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대전 수돗물 생산시스템은 합동점검에서도 그 안전성이 확인됐으므로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이라며, “가정 내 오염된 환경에서 번식한 벌레를 수돗물에서 유입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주변 환경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해 벌레가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최미자 기자 rbrb344@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