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압박하고 있는 그린벨트해제와 관련 서울시가 반대 입장을 고수하는 가운데 청와대의 의중이 드러나는 김상조 정책실장의 발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창환 기자]](/news/photo/202007/407868_324213_4448.jpg)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여당까지 나서서 서울시를 향해 ‘그린벨트 해제’ 관련 압박 강도를 높이는 가운데 청와대에서도 힘을 실어주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반대 입장을 강하게 피력해 온 서울시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미 지난 15일 국토부와 기재부 및 경기도와 서울시 등이 참여하는 ‘주택공급확대 실무기획단’ 회의에서 정부와 여당은 ‘서울 시내 그린벨트 지역을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가 주택 공급 관련 그린벨트 해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7일 KBS에 따르면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그린벨트 해제 관련) 당정 간 의견을 이미 정리했다. 논란을 풀어가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며 ”부동산 정책 관련 모든 정책 수단을 메뉴판 위에 올려뒀다. 이를 하느냐, 마느냐는 또 다른 판단의 문제“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김 실장이 언급한 모든 정책 수단에 그린벨트가 포함됐으며, 당정 간 의견을 정리했다는 것은 말 그대로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그린벨트 해제에도 결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주택공급 확대 TF’를 직접 이끌고 있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14일 “주택공급 대책으로 5~6가지를 검토 중이며 필요 시 그린벨트 문제를 점검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이후 업계 관계자들과 각계 전문가들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대한 의견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로 점쳐지는 곳이 서초를 포함한 강남일대의 약 30㎢에 이르는 구역이다. 이는 서울시 전체 면적 605㎢ 가운데 25%를 차지하고 있는 그린벨트 지역의 5분의 1에 이른다. 서초구 내곡동, 강남구 세곡동, 수서역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서울시는 “그린벨트 해제 대신 시가 소유하고 있는 공유지나 국유지의 개발 또는 역세권 토지개발 등이 우선돼야 한다. 미래 자산인 그린벨트를 흔들림 없이 지키겠다”며 절대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창환 기자 shine@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