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을 부르는 생활풍수 시리즈 - 38
福을 부르는 생활풍수 시리즈 - 38
  •  기자
  • 입력 2010-04-27 10:20
  • 승인 2010.04.27 10:20
  • 호수 835
  • 38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운 키워주는 풍수비법 대공개

건강을 잃으면 다 잃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말이 있다. 잘 먹고 잘 사는 게 중요해진 요즘 웰빙 바람은 생활풍수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인간의 신체 각 부위와 방의 에너지는 서로 대응 관계에 있다. 어떤 방의 기가 어지러우면 특정질병에 걸리기 쉽고, 반대로 방의 기가 조화로우면 이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나 장기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김현남 현공풍수컨설팅 대표에 따르면 건강운 전체를 담당하는 방위는 북쪽의 감궁(坎宮)이다. 김 대표는 “건강과 안녕을 바라는 부적을 붙인다면 이 방위가 좋다”며 “아쿠아마린, 백수정, 토리말린 등의 보석을 함께 장식하면 전체적인 건강운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가족 건강운을 책임지는 풍수비법을 공개한다.


방위 따라 질환도 천차만별

사람의 신체 부위와 대응하는 집의 각 공간은 특별히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한다. 서재는 전두엽과 좌뇌에 대응한다. 서재가 없는 집에 살면 주인의 사고력이 떨어지고 결단력이 부족한 사람이 되기 쉽다.

자녀방과 책상의 위치를 정할 때도 신중해야 한다. 이는 아이의 성장 능력과 지능, 의식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모 자식 간의 애정도까지 결정짓기 때문이다. 문과 현관은 뇌와 얼굴에 대응해 더더욱 신경 써야 한다. 현관은 사람이 숨을 쉬는 통로(입, 코)와 상응한다. 이곳이 어떤 상태냐에 따라 기가 들어오는 방법이 변하고 거주자의 대외 활동에도 영향을 준다.

거실과 욕실은 간과 대응한다. 넓고 느긋한 분위기의 거실은 피로를 달래고 생각을 깊게 해준다. 화장실은 간과 방광에 영향을 준다. 이곳의 기 흐름이 좋지 않으면 당뇨병, 자궁근종 등 비뇨기계 질환에 걸리기 쉽다. 재물운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침실과 침대의 위치, 방향은 심장에 영향을 미친다. 침실의 상태는 기본적인 체력과 기력에 크게 영향을 준다.

천정의 높낮이는 폐와 호흡기에 영향을 미친다. 천정이 낮은 집에 사는 사람은 이 기관을 압박해 의식 수준도 떨어진다.

풍수에서 주거는 집에 사는 사람의 육체적 거울이며 각 방위는 신체의 각 부위를 암시한다. 집을 돌보는 것은 자신의 몸을 돌보는 것과 같다. 각 방위에 욕실이나 화장실, 쓰레기통, 정화시설, 하수도 등 혐오시설이 있다면 이 부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남향집은 눈, 심장에 해당하는데 이곳이 더러우면 거주자의 눈, 심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남쪽 방위 벽에 금이 가 있다면 몸에 이상을 느끼지 않더라도 건강검진을 받고 서둘러 벽을 수리해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 건강운 전체를 지배하는 방위는 북쪽이다. 이곳과 궁합이 맞는 색은 검은색, 회색, 파란색 등이며 흰색, 금색, 은색 등도 북쪽에 도움을 준다. 신체 부위에 따라 효과적인 색깔은 달라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아무리 건강운에 좋은 색이라도 한 곳에만 집중적으로 배치하면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


침실, 부엌에 깃드는 건강운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비결은 좋은 음식과 충분한 수면이다. 음식은 몸을 만드는 재료가 되고 잠을 자는 동안 몸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편안한 잠을 자려면 침실이 편안해야 한다. 출입구와 창문근처, 출입문과 바로 마주보이는 곳에서는 자지 않아야 한다. 침실이 좁아 방법이 없다면 머리 부분만이라도 이곳에서 떨어지는 게 좋다.

거울은 침대 머리를 비추는 위치에 둬선 안 된다. 다른 곳에 거울이 있다 해도 잘 때는 천이나 수건 등으로 가리는 게 좋다. 거울은 기를 반사하는 작용을 해 숙면을 방해한다. 수면에 효과적인 파워스톤으로는 자수정이나 문스톤이 있으며 황옥과 수정은 불면증을 개선해준다.

천정에 대들보가 있거나 근처 건물의 모퉁이가 집을 향하고 있는 것 역시 좋지 않다. 모퉁이는 건물의 기를 한 점에 모아 방사하는 작용이 있어 이런 강한 기를 계속 받다보면 몸이 망가지기 십상이다. 집 내부에 요철(凹凸)이 있고 연장선상에서 자주 머문다면 건강이 나빠진다. 이를 ‘첨각의 직사’라 한다.

개선책이로는 첨각이 자신의 집 쪽으로 향해 있을 때는 첨각 정면에 거울을 둬 이를 반사시킨다. 가능하면 요면경이 좋다. 집 내부 백에 요철이 있을 때는 큰 기둥의 첨각 등에 관엽 식물을 두거나 수정 등 둥근 것을 매달아 두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천정의 대들보도 첨각과 비슷한 악영향을 미친다. 대들보는 집을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압력이 기가 돼 방출된다. 대들보 아래 의자를 두고나 머리를 두고 자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이동할 수 없다면 무령(巫鈴·방울)이나 표주박 등 둥근 것을 매달면 흉이 누그러진다.

음식을 만드는 부엌이 지저분해도 건강운이 모이지 않는다. 싱크대와 가스레인지는 반드시 윤이 날 정고로 깨끗하게 유지하고 곰팡이나 습기가 없도록 관리해야 한다. 부엌이 위치하기 좋은 방위는 서북쪽이며 반면 남서쪽~남쪽은 흉하다. 서쪽으로 석양이 들어오는 부엌은 석양이 식재료나 쓰레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족이 자주 아플 수 있다.

부엌에서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은 물과 바람이다. 싱크대의 물방울까지 깨끗하게 닦아 가능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바람은 가스레인지와 관계가 깊다. 가스레인지를 출입구, 큰 창, 냉장고 등과 마주보이는 위치에 두는 것은 흉상이다. 이곳에서 바람이 들어와 가스레인지 불길에 영향을 미쳐 좋지 않은 까닭이다.

냉장고와 가스레인지는 두 개의 상반되는 작용 때문에 서로 마주보면 싸움이 난다. 이때는 둘 중 하나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게 최선이다. 옮길 수 없다면 출입구에 칸막이를 세우거나 커튼을 치고 냉장고 문에 거울을 단다. 부엌이 욕실, 침실과 마주보는 경우도 흉상이다.

[자료출처=김현남 저 ‘잘 풀리는 우리 집 풍수 인테리어’]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