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어린이공원 위험 해소
대전시,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어린이공원 위험 해소
  • 최미자 기자
  • 입력 2020-07-10 16:58
  • 승인 2020.07.10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리동 만남어린이공원에 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 구축
인공지능 기반 사회문제해결형 기술사업화 성공사례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위험 사각지대 해소한다_시스템흐름도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위험 사각지대 해소한다_시스템흐름도

[일요서울ㅣ대전 최미자 기자] 대전시는 대덕구 중리동 만남어린이공원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시킨 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은 공원(학교 등)에서 위급상황이 발생 했을 때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라고 외치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이 자동으로 상황을 감지하고 촬영해 대전시통합관제센터(유성구 봉명동)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대전시통합관제센터 모니터에는 현장영상이 팝업으로 뜨기 때문에 관제센터 요원의 빠른 인지와 신속한 112, 119 상황 대처가 가능하다.

이 사업은 대전시가 4차산업혁명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위탁해 추진한 사업으로, 대전시가 사업비를 지원하고, 대덕구가 실증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에 성공한 사례다.

앞으로 ㈜보노아이씨티는 이번에 입증된 인공지능(AI)기술을 학교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거친 후 관공서, 기업체 및 해외 판로 개척에 나설 계획이다.

대전시는 출연연, 대학의 인공지능 기술을 중소기업이 이전받아 사업화에 성공하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매년 5~6개 기업에 대해 2억 원 내외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다.

최미자 기자 rbrb344@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