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성평등 실현 위한 경남 농정의 과제와 실천방안 주제로 토론 진행
[일요서울ㅣ창원 이형균 기자] 경상남도 도정자문위원회 민생분과(분과장 심상완)가 지난 2일 오후 4시, 경남연구원에서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경남 농정의 과제와 실천방안'을 주제로 워크숍을 가졌다.

지난 5월 8일 ‘경남의 중형조선 활성화’ 주제의 워크숍에 이어 민생분과 주관으로는 두 번째 열린 워크숍이다.
이번 워크숍은 김훈규 도정자문위원((사) 거창군농업회의소 사무국장) 주재로 오미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여성정책팀장과 임연화 전남 나주시 여성농업정책팀장이 주제발표를 했으며, 이어 토론자로 박미정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경남연합 정책위원장과 구점숙 한국생활개선연합회 남해군생활개선회 총무가 여성농업인을 대표해 참여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오미란 팀장은 여성농업인의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생산자 조직 내 의사결정 참여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여성농업인의 실질적 양성평등 교육 강화를 통한 정책 추진과 지위‧권리 향상에 대한 지속적인 내실화, 지역격차 해소 및 생애주기별 특성에 기반한 여성농업인 정책이 필요다고 말했다.
임연화 팀장은 전국 지자체 최초로 여성농민 전담부서를 만들기까지의 주요 사례를 발표했다. 우선 ‘실질적 양성평등으로 여성농업인의 행복한 삶터, 일터 구현’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여성농업인 단체들과 월 1회 간담회를 통한 소통과 민관협력을 기본으로 했음을 설명했다.
교육을 통한 기본역량 강화와 함께 ‘조례 개정, 위원회 구성, 전담조직 신설’ 등 제도를 정비해 여성농업인 육성과 지원을 위한 체계를 확립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두 사람의 발제에 이어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박미정 위원장은 여성농업인을 위한 정책으로 경남도와 시군에서 여성농업인 육성과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 영농도우미 지원 신청 간소화, 여성농민도 농업생산의 주체로서 공동경영주가 될 수 있는 실질적 지위와 권리에 대한 제도적 보장 등을 제안했다.
또 이와 함께 경남도와 시군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신설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구점숙 총무는 지속가능한 농어촌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발전의 주체로서 여성의 참여가 반드시 보장돼야 하며, 노령화된 농촌의 돌봄활동을 지원하는 단위, 또는 텃밭 생산공동체 등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를 만들어 여성이 지역사회 조직관리의 주체가 되도록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이번 토론을 주재한 김훈규 도정자문위원은 “이번 워크숍에서 나온 다양한 목소리를 경남도 관계부서에 잘 전달해 여성농업인들을 육성‧지원하고 지위와 권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이 시행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형균 기자 bgbog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