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흐르는 남도여행

여름나기’라 하면 산으로 바다로 향하는 여행을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산과 바다로 떠나는 여행도 즐겁긴 하지만 자칫하다 지친 몸을 더욱 녹초로 만드는 수가 있다. 이번 여름에는 문화를 향유하는 여름나기를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 이에 한국관광공사는 ‘광주·전남 방문의 해’ 여름철 특집으로 “‘더 없으세요? 토요경매 낙찰됐습니다!(전남 진도)’, ‘남도의 젖줄 따라 황포돛배 흘러가고(전남 나주)’, ‘남도의 참 멋을 찾아-전라남도립국악단 토요상설공연(전남 목포)’, ‘남도의 맛이 궁금하시다면-남도향토음식박물관(광주광역시)’,‘뜨거운 젊음에 시원한 여유를 입히다(전남 신안)’”등 5곳을 각각 선정, 발표했다. 남도 이곳저곳 시원하게 흐르는 문화 속에서 뜨거운 햇살을 이겨보자.
2007년 3월에 개관한 광주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은 남도음식을 널리 알리고 전통음식을 계승하고자 만들어진 ‘관람 뿐 아니라 체험도 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층에는 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테마 전시관이 있다.
박물관은 관람객을 위해 매주 토·일 어린이 음식 만들기 ‘즉석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부모와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사탕떡, 삼색 다식, 쌀강정, 미니떡케이크, 떡국 만들기 등 월별로 다양한 음식체험을 할 수 있다. 비용도 1인당 3000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또한 유치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만들기 체험, 전통음식에 관심 있는 어른들을 위한 4개월 과정의 ‘전통음식강좌’도 마련되어 있다. 남도향토음식박물관에서 남도 음식의 매력에 흠뻑 취했다면 광주 5미(五味)로 일컬어지는 한정식, 무등산보리밥, 광주김치, 송정떡갈비, 오리탕은 광주에 들르면 꼭 먹어봐야 할 음식이다. 주변 관광지로 뜨거웠던 광주민주화항쟁의 흔적을 돌아볼 수 있는 5·18 묘지와 5·18 자유공원, 쇼핑과 패션의 중심지로 밤이면 청춘남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광주의 심장부, 충장로가 들러볼 만 하다.
떡, 김치, 차, 술과 같이 특정음식이나 음료를 테마로 한 박물관은 꽤 있지만 지역음식을 테마로 한 박물관은 드문 편이다.
향토음식박물관은 복합문화공간
‘남도음식박물관’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남도음식이 특별하고 할 얘기가 많다는 반증이리라. 2007년 3월에 개관한 광주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은 남도음식을 널리 알리고 전통음식을 계승하고자 만들어진 박물관으로 ‘관람 뿐 아니라 체험도 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남도향토음식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에는 한달에 2번 정도 음식 관련 테마를 바꿔가며 전시하는 기획전시실이 있고, 2층 남도향토음식 상설전시관에서는 남도를 서부권, 중부권, 동부권으로 나눠 각 지역마다 대표적인 음식과 특색을 사진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3층에는 호남문화자료전시관도 있어 호남의 역사, 문화, 문학을 시대별·장르별로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관람객을 위해 매주 토·일 어린이 음식 만들기 ‘즉석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부모와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사탕떡 만들기의 경우 백년초와 치자, 뽕잎가루로 떡에 물을 들이고 흰 가래떡과 물들인 떡을 적절히 배합, 길게 밀어 손칼로 잘라내면 삼색고운 사탕떡을 만들어낼 수 있다.
천연재료로 삼색 사탕떡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아이들한테는 신기하고 재미난 모양이다. 사탕떡 외에도 삼색 다식, 쌀강정, 미니떡케이크, 떡국 만들기 등 월별로 다양한 음식체험을 마련한다. 비용도 1인당 3,000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또한 매주 화·금 10명 이상의 유치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만들기 체험도 운영된다. 전통음식에 관심 있는 어른들을 위해서는 ‘전통음식강좌’를 운영하는데 폐백, 이바지, 떡, 한과 등을 4개월 과정으로 배울 수 있다. 남도향토음식박물관에서 남도 음식의 매력에 흠뻑 취한 다음, 광주 맛기행을 해보면 어떨까.
광주 5미(五味)로 일컬어지는 한정식, 무등산보리밥, 광주김치, 송정떡갈비, 오리탕은 광주에 들르면 꼭 먹어봐야 할 음식이란다. 주변 관광지로는 뜨거웠던 광주민주화항쟁의 흔적을 돌아볼 수 있는 5·18 묘지와 5·18 자유공원, 쇼핑과 패션의 중심지로 밤이면 청춘남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광주의 심장부, 충장로가 있다.
여행정보
▶관련 웹사이트 주소
●남도향토음식박물관 : http://namdofoodmuseum.go.kr
▶문의전화
●남도향토음식박물관 : 062)575-8843
▶찾아가는 길
●대중교통 정보
[기차]
서울(용산)-광주, KTX 하루 9회 운행, 4시간 5분 소요
문의 : 철도공사 1544-7788, www.korail.com
[버스]
서울-광주간 하루 110여회 운행, 3시간 40분 소요
[비행기]
서울-광주간 하루 7회 운행, 50분 소요
●자가운전 정보
[서울-광주]
경부고속도로 → 천안분기점 →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 논산분기점 → 호남고속도로 → 광주톨게이트(15분거리) → 용봉 IC 진입 후 첫 사거리에서 좌회전 → 북부경찰서 사거리 → 국제고 입구 ⇒ 남도향토음식박물관
[부산-광주]
남해고속도로 → 동광주톨게이트(10분거리) → 용봉 IC 진입후 첫 삼거리에서 우회전 → 북부경찰서 사거리→ 국제고 입구 → 남도향토음식박물관
사진·자료제공:한국관광공사
최은남 기자 cen@dailysun.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