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한국당 앞길에 험한 가시밭 길’
‘창조한국당 앞길에 험한 가시밭 길’
  • 김현 기자
  • 입력 2008-01-10 11:49
  • 승인 2008.01.10 11:49
  • 호수 715
  • 13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 진보지형 정치 노린 문국현 행보 ‘삐걱’

인재풀 가동에 브레이크

“연합공천은 있어도 연대, 통합은 아니다”

최근 창조한국당 문국현 공동대표가 던진 얘기다. 그는 총선전략으로 ‘연합공천’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 관계자의 전언이다.

여러 집단을 아우르는 이른 바 ‘뗏목 전술’을 꾀할 것이란 관측이다.

하지만 문 대표는 내부의 현실상황을 잘 알지 못하고 있다고 정치권 일각에선 지적한다.

인재풀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는 한계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는 평이다. ‘이명박 정부’ 탄생이 초읽기에 들어간 지금, MB정부에 총체적 전문브레인이 대거 몰려있다는 정치현실의 한계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되레 군소정당인 창조한국당에 들어올 전문인재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지금 다각도로 전문 인력 영입을 모색 중이다”면서 “하지만 예상외로 (인재영입이) 난공불락에 빠졌다”고 전했다. 그나마 총선에 나선 인물은 대선 때 활동했던 인물 중심으로 움직이는 게 고작이라는 것.


총선 예비등록자 겨우 4명

지난해 12월 31일 현재 18대 총선 예비후보자로 출사표를 낸 창조한국당 사람은 4명에 머문다. 경기 1명, 강원 2명, 경북 1명이다. 우선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갑지역엔 정당인 백선기씨가 지역텃밭 다지기에 나섰다. 고려대 사학과를 졸업한 그는 창조한국당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이에 앞서 부천시민연합 공동대표로도 지역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다는 평이다.

또 강원도 동해시·삼척시엔 전승규(정당인)씨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열린우리당 중앙위원을 거쳐 창조한국당 강원도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강원도 태백·영월·평창·정선군엔 CEO기업가 최종연(대서유통 대표)씨가 총선준비에 한창이다. 한국외대 영어과를 나온 그는 폐광지역경실련 정책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태백시협의회장 등을 거쳤다. 언론계 출신의 추연만씨는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에 출마의지를 굳혔다.

그는 인터넷신문 영일만뉴스 발행인을 거쳐 창조한국당 경상북도당 사무처장으로 일하고 있다.

이밖에 문 대표가 총선프로젝트의 하나로 출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비례대표 출마 긍정적

여의도 정가에선 문 대표가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그도 이에 대해선 부정하지 않는 눈치다. 당 안의 한 핵심 관계자는 “아직 뭐라 공식적으로 말할 부분은 아니다”면서도 “그가 출마 여부에 대해 거론했던 만큼(출마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출마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귀띔했다.

당의 현실 상황 또한 그리 녹록치만은 않다. 가장 큰 고민은 돈 가뭄에 허덕인다는 점이다. 당의 인지도 또한 그렇게 높지 않다. 지역 표심을 공략하는 것 자체가 한계에 부딪히는 실정이다.

신 진보지형을 꿈꾸는 문 대표 입장에선 총선을 겨냥하는 데 있어 험한 가시밭길이 예견된다. 물론 총선에선 ‘허니문 기간’을 맞이한 이명박(MB) 대통령 당선인을 축으로 한 한나라당이 큰 변수다. ‘MB-박근혜’가 조합을 이뤄 총선을 잘 치룰 경우 ‘1여 다야 구도’ 형태로 싸울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이치다.

하지만 ‘MB-박근혜’ 조합이 깨질 경우 다야 체제가 이뤄져 연대-통합을 통해 승부수를 펼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이 다야 체제에서 연대-통합의 정계개편 대열에 단연 창조한국당이 1순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 대표는 “연합공천은 고려해도 연대-통합엔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강조한다. 이런 문제로 문 대표의 고민은 날로 깊어질 수밖에 없다. 1순위로 연대를 지목하는 쪽은 민주당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한 관계자는 “문 대표가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10%대의 지지율을 보였다”면서 “(민주당 안에선) 올봄 총선을 겨냥한 당 대 당 연합이나 통합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도 들린다”고 말했다.

2~3월이면 ‘합종연횡’이란 틀 속에서 한바탕 정계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게 정치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따라서 문 대표가 총선을 앞두고 과연 어떤 길을 택할지 주목된다.

김현 기자 rogos0119@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