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교 MT를 다녀온 뒤부터 무릎이 아팠다는 김영수(21세)씨. 팀 별 축구경기에서 무리를 했는지 무릎에 통증을 느껴 찜질을 해보기도 하고, 파스를 붙여보기도 했지만 나아지지 않아 병원을 찾았다고 한다. 김씨의 병명은 반월상 연골판 파열로 수술이 필요한 상태였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위 뼈(대퇴골)와 무릎 아래 뼈(경골) 사이에 있는 반달 모양의 물렁뼈로 무릎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존재한다.
무릎 내에서 무릎 위 뼈의 하중을 무릎 아래 뼈에 전달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 안정과 고유 감각 등을 담당하는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면 뼈끼리 맞닿게 되어 통증이 심할뿐만 아니라 관절염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반월상 연골판은 축구나 농구, 테니스와 같이 하체의 움직임이 많은 운동을 할 때 손상되기 쉽다. 보통 무릎 아래쪽이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 윗부분이 갑작스럽게 뒤틀리게 되는 급한 움직임의 순간에 연골판이 무릎 아래, 위 관절 면에 끼어서 찢어 지게 된다. 그 외에도 점프 후 착지나 갑작스런 방향전환 등의 상황에서 연골판은 쉽게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조금 쉬면 괜찮겠지… 생각 하면서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이때 증상의 호전이 치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상의 호전이 환자와 의료진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반월상 연골판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자연 치유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조직으로 증상이 호전 된 이후에도 찢어진 채로 남아서 만성통증, 무릎 안에서 뭔가 걸리는 듯한 이물감, 자주 무릎이 붓는 현상 등의 만성적인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나머지 반월상 연골판, 관절 연골 등에 추가 손상이 발생하고 결국 수 개월, 수 년 후 악화된 상태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전형적인 환자의 경과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전에 의해서 무릎을 다쳤을 때에는 비교적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반드시 정형외과 의사를 찾아가 진찰을 받아야 한다.
진단은 MRI나 진단 내시경 등을 통해 가능하다. 치료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릎 반월상 연골이 파열된 경우 자연적인 치유는 거의 불가능하고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관절내시경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치료는 파열된 반월상 연골판을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절제하는 방법이 있고 봉합하는 방법이 있다. 파열된 연골판을 봉합이 가능한 경우 봉합해 주는 것이 여러 가지로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봉합이 가능한 경우는 연골판 파열이 있는 경우 약 5%정도 만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판단은 경험 많은 관절내시경 전문의에게 의존하는 것이 좋다. 만일 반월상 연골판을 완전히 절제한 경우에는 나중에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도움말_조승배 (연세사랑병원[강남점] 관절내시경센터 과장)
이동로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