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기관지염은 좋은 음식만 으로 치료 가능하다
겨울이나 환절기에는 잦은 기침과 가래로 고통을 당하는 환자가 늘어난다. 기관지염은 감기 증세가 오래 되어 기침이 심하고, 가래는 나오지 않으나 몸의 마디마디가 아프고 땀이 저절로 나오기도 한다. 또한 감기와 더불어 기침 소리가 개 짖는 소리 같고 목에서 기관지까지 통증을 느낀다. 물론 감기 증상일 경우도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1년에 3개월 이상 열이 나고 기침과 가래가 계속되면서 가래 색깔이 노랗게 변하면 만성기관지염일 가능성이 높다. 기관지염은 주로 감기를 앓다가 걸리는 수도 있고 갑자기 찬바람을 맞아 생기는 수도 있다. 또는 먼지나 가스, 담배 등이 유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기관지염에는 급성 기관지염과 만성 기관지염이 있다. 급성 기관지염 때에는 열이 나면서 마른기침을 하다가 점차 가래가 생기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 기침이 심해지면 가슴이 아프고 숨이 차며 입맛이 떨어지고 머리가 아프다. 급성 기관지염을 잘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기관지염으로 넘어가거나 처음부터 만성으로 경과하는 경우도 있다.
또 세균과 같은 미생물 또는 오염된 공기와 과도한 흡연, 유해가스나 체질적 요인에 의해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고 고름과 같은 다량의 가래를 뱉는 경우 기관지염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이 1년중 3개월이상 2년간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면 만성기관지염이라 한다.
만성기관지염은 흡연이 주범이며 그외 황사현상이나 대기오염, 반복되는 기관지 간염, 작업장에서 노출되는 가스와 유전적인 요인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만성기관지염 환자의 기관지벽을 살펴보면 점액선의 과도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점액선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 분비물인 객담이 과도하게 흘러나와 기관지벽에 들러붙어 세균의 침입을 조장하거나 기관지를 자극하여 빈번한 기침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만성 기관지염일 때에는 열이 나거나 가슴소견에서 특별한 것은 없으나 찐득찐득한 가래가 목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으며 양은 적다. 만성 기관지염이 심해지면 급성 기관지염 때의 증상들이 나타나면서 고름이 섞인 가래가 많이 나온다. 기관지염을 예방하기 위하여서는 항상 몸을 단련하여 저항성을 높여야 한다.
특히 만성 기관지염이 있는 사람들은 항상 기관지점막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조건들을 피해야 한다. 공기는 항상 맑고 깨끗해야 하며 담배를 피우지 말아야 한다.
증세로는 아침 저녁으로 기침이 심하며 겨울에는 더욱 심해진다. 화농성 가래 또는 피가 섞인 가래를 배출하기도 한다. 또 운동 시에 호흡곤란이 잘 나타나며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이 있으면 폐쇄성폐질환의 진행이 의심된다. 진단이 중요하다. 기침과 다량의 가래 등 자각증상과 이학적 검사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다만 기침과 가래를 동반하는 다른 기관지 질환이나 폐질환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함으로 적절한 검사를 게을리 하여 치료에 곤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관지염의 대체의학치료
1 마늘 오미자 꿀 술 호박씨 기관지염은 1백50ml정도의 물에 오미자 1백g과 짓찧은 마늘 10g을 만 하룻동안 담가두었다가 그 물에 꿀 20g 술 10ml를 넣어 한번에 50ml씩 하루에 세 번 먹는다. 또는 까서 말린 호박씨 500g을 보드랍게 가루 내 꿀 300g과 섞어서 식후에 먹는다.
2 오미자 20~3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덥혀서 먹는다. 오미자는 기관지점막을 보호하며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3 오미자 8g, 족두리풀뿌리(세신) 3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기관지염으로 가래가 많아지면서 기침을 하고 숨쉬기가 거북한 것을 낫게 한다.
4 물달개비 옹근풀 30g을 물에 달여 찌꺼기를 짜버린 다음 꿀(봉밀) 15~20g을 넣고 다시 5분 동안 달여서 한 번에 먹는다. 하루에 2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5 백부 8~12g을 물에 달여 찌꺼기를 짜버리고 꿀을 적당히 타서 하루 2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또는 잘게 썬 다음 물을 붓고 3~4시간 끓인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다시 물엿처럼 졸여서 한 번에 한 숟가락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이 약은 기침을 멈추며 가래를 삭이는 작용이 있어 만성 기관지염에 쓴다.
6 도라지(길경) 20g, 율무쌀(의이인) 30g을 물에 달여 설탕가루를 적당히 넣어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도라지는 뚜렷한 거담작용과 기관지점막의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는데 율무쌀을 같이 쓰면 이 작용이 더 세진다. 급성 기관지염에 효과가 있다.
7 길짱구(차전초) 옹근풀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달여 찌꺼기를 짜 버리고 다시 약엿이 되게 졸인 다음 약한 불에 말려 0.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20알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길짱구에 있는 진해 유효성분인 플란타기닌은 기관지점막의 분비를 늘려 기관지점막에 붙어서 잘 떨어져 나오지 않는 가래를 묽게 하여 쉽게 떨어지게 한다. 또한 호흡중추에 직접 작용하여 기침을 멎게 한다.
8 돼지고기 150g을 삶아 잘게 썬 데다 꿀(봉밀)을 200g 정도 넣고 잘 섞어서 하룻동안 두었다가 한 번에 한 숟가락씩 하루 4~5번 끼니 전에 먹는다.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성하는 데 좋다.
9 애기땅꽈리 옹근풀 100g에 5배 되게 물을 붓고 달여 찌꺼기를 짜버리고 다시 졸여 엿을 만들고 여기에 설탕을 넣어서 탕도가 60% 되게 한다. 한번에 50ml씩 하루 3번 10일 동안 먹고 3~4일 쉬었다가 다시 먹는다. 그러면 기침과 숨가쁨이 멎고 가래가 없어진다.
10 은행씨(행인),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 내 꿀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6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은행씨는 기침을 멈추고 가래를 삭이며 차조기잎은 땀을 내고 열을 내리며 기침을 멈춘다. 주로 급성 기관지염으로 열이 나면서 기침이 날 때에 쓴다.
11 돼지비계 2kg, 설탕가루 1kg, 들깨 0.5kg을 가지고 약을 만드는데 돼지비계를 잘 탕쳐서 남비에 넣고 약한 불에 끓여서 기름을 낸 다음 고기 조각이나 녹지 않은 것은 건져낸다. 여기에 설탕가루를 조금씩 뿌려 넣으면서 녹이되 타지 않게 잘 젓는다. 이렇게 하여 설탕가루가 기름에 다 녹으면 남비를 내려놓고 약한 불에 약간 볶아 보드랍게 가루 낸 들깨가루를 뿌리면서 잘 섞은 다음 넓은 그릇에 성냥갑 높이로 펴서 식힌다. 그러면 묵처럼 되는데 칼로 성냥갑 절반만큼씩 벤다. 이것을 잘 보관하고 한 번에 한 개씩 하루 3번 끼니 전 30분마다 먹는다. 이것은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결핵 등 호흡기 계통의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하며 또 호흡기를 든든히 할 목적으로 민간에서 예로부터 흔히 쓰이고 있다. 이 약은 가을과 겨울, 겨울과 봄이 바뀌는 시기에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조민성 기자 jms@dailysun.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