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구미,칠곡 공동참여, 5년간 국비 558억원 지원, 6,800개 일자리 창출
지역 코로나 피해 중소기업의 고용위기 해소에 우선 대응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상북도가 정부의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사업’공모에 선정돼 5년간 55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이로 인해 앞으로 5년간 6,800개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 됐다.
경상북도는 1일 도청 회의실에서 고용노동부, 김천시, 구미시, 칠곡군과 함께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사업은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주도적으로 산업정책과 연계된 중장기 일자리 사업을 기획해 고용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재정과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고용위기가 발생한 이후 대응하는 사후적 지원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된다.
도에 따르면 이번 공모는 경기침체와 고용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전국 17개 시도에서 22개 사업을 제안해 어느 사업보다 치열한 경쟁을 거쳐 최종 5개 시도(경북, 인천, 충북, 전북, 경남)가 선정됐다.

경북도는 지역의 주력 산업 거점이자 지역 경제의 중심지역인 김천-구미-칠곡 권역을 컨소시엄으로 구성해서 전자산업 고도화 및 스마트모빌리티 산업 발전과 연계한 현실적이고 세부적인 고용창출 전략을 수립해 높은 설득력과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국비 558억원을 포함해 총 698억원을 투입해 6,800여개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도는 이번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사업을 현재 추진 중인 구미 상생형 일자리, 스마트산단 조성, 국가융․복합 혁신클러스터 등 대규모 산업정책과 연계해 지역산업의 혁신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코로나 경제위기까지 더해 더욱 심화될 수 있는 지역의 고용 위기를 선제적이고 공격적으로 대응·타파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사업 첫해인 올해는 지역 내 하드웨어인 산업기반과 연계해 일자리 수요와 공급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경북 고용안정 선제대응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자산업 고도화, 업종전환, 신규산업인 스마트모빌리티 산업의 육성을 추진한다.
특히, 경북도가 추경 예산 등을 통해서 전국 시·도 중 규모와 내용면에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대책과 연계해 실제 고용현장에서 코로나로 인해 발생하는 퇴직자와 피해기업을 우선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패키지 지원사업은 5월부터 바로 진행이 될 계획이며 이와 함께 도민 및 지역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전례 없는 코로나 경제위기 국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민의 일자리를 지키는 고용문제 해결”이라며 “ 지역 경제를 살리고 도민의 일자리를 하나라도 소중하게 지키는데 모든 정책적 역량을 집중 하겠다”고 강조 하면서 “지역의 산업과 고용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일자리 매스매치가 해소되고 지역의 고용사정이 안정될 수 있도록 경북도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성열 기자 symy203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