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 고품질 쌀 안정생산 위해 종자소독은 필수!
담양군, 고품질 쌀 안정생산 위해 종자소독은 필수!
  • 조광태 기자
  • 입력 2020-04-23 02:09
  • 승인 2020.04.23 0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군농업기술센터 통해 철저한 볍씨 종자소독 당부
- 친환경소독은 온탕소독기에 종자량 10배의 물 필요
- 온탕소독(60℃, 10분) 실시 후 냉수에 10분 담궈야...
담양군이 고품질 쌀 안정생산을 위한 종자소독을 집중 안내하고 있다.
담양군이 고품질 쌀 안정생산을 위한 종자소독을 집중 안내하고 있다.

[일요서울ㅣ담양 조광태 기자] 전남 담양군농업기술센터(소장 이병창)가 고품질 담양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볍씨 파종 전 종자소독을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고 관련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벼 종자소독은 종자로 전염되는 키다리병, 도열병, 세균성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깨씨무늬병, 벼잎선충, 벼이삭선충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건전한 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고품질 쌀 생산의 첫걸음이다.

볍씨소독은 일반소독(약제침지소독)과 친환경소독(온탕소독, 온탕소독+석회유황) 2가지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일반소독은 볍씨소독 적용약제를 선택해 종자량의 2배 물량에 약제를 희석하고, 물이 잘 통하는 망사자루에 종자 10㎏ 단위로 볍씨발아기에 세워서 넣고, 물 온도 30℃에서 약제별 소독시간을 준수하여 24∼48시간 소독한다.

친환경소독은 온탕소독기에 종자량의 10배정도 물을 넣고, 온탕소독(60℃, 10분)을 실시한 후 냉수에 10분 이상 종자를 담그면 96% 정도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있다.

특히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자체 개발한 온탕소독+석회유황 체계처리는 온탕소독한 볍씨를 석회유황(22%, 50배액)을 희석한 물 온도 30℃에서 24∼48시간 담궈 소독하고 깨끗한 물로 세척하면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99%로 온탕소독보다 효과가 더 높다.

소독 후 볍씨 담그기(침종)는 30℃에서 3∼4일(15℃에서 6∼7일) 동안 실시하고, 산소발생기를 사용하거나 1일 4∼5회 저어주어 볍씨 부패를 방지해 주어야 하며 고온·단기간보다는 저온에서 수분을 천천히 흡수시키는 것이 균일한 발아에 도움이 된다.

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연구과 이철규 과장은 “지난해 키다리병과 깨씨무늬병 등 발병률이 높아 올해도 볍씨소독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소독약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섞어서 한 번에 하는 것이 좋으며 농약의 사용방법을 반드시 읽어보고 주의사항을 잘 지켜서 소독효과를 높이고 약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광태 기자 istoday@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