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ㅣ조주형 기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월성1호기 원전을 조기 폐쇄한 것에 대해 감사를 진행한 감사원이 감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법조계를 비롯한 원자력 업계가 지난 20일 감사원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눈길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한수원은 탈(脫)원전 반대활동을 해 온 그를 '회사 명예실추'라는 이유로 지난달 28일 직위해제했다.
강 위원장은 "주가는 1500 선이 붕괴됐고, 환율은 폭등하면서 기업과 자영업자는 줄도산을 면치 못하고 있다"면서 "이럴수록 불필요한 국부유출을 막기 위해 준-국산 에너지인 원전이 제대로 가동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안타깝게도 탈원전 부역자들로 인해 멀쩡한 월성1호기가 2년 넘게 정지됐다. 월성1호기 정지 기간이 한달 늘어날 때마다 전기소비자인 우리 국민은 무려 270억 원에 달하는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현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의 허상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강 위원장은 "이렇게 해서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며 "문재인 정부의 무모한 탈(脫)원전 정책의 거짓과 함께 해선 안 된다"고 성토했다.
그는 "산업부 공무원의 목소리, 한수원 관계자의 목소리, 경제성 수치 조작과 관련되는 문서를 모두 갖고 있다. 나를 조사해 달라"며 "이번 31일까지 월성1호기 경제성 감사결과를 발표해 달라. 공익제보자로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요구한다"고 강력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월성1호기 폐쇄를 승인하면서, 한수원은 월성1호기를 폐쇄했다. 불과 2년 전 국무회의 로드맵에서 조기폐쇄가 등장한 이후 사장을 비롯한 간부들이 교체됐고, '경제성 평가' 결과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바뀌기 시작하면서 지난 2018년 지방선거 직후 이사회에서 조기폐쇄가 의결됐다. 이후 감사원이 감사를 진행했으나 감사 결과는 비공개 상태다.
![사진은 지난달 6일 이채익 자유한국당 의원, 이언주 미래를향한전진4.0 대표와 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 일부 간부들이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해임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news/photo/202003/376881_293516_2511.jpg)
조주형 기자 chamsae7@ilyoseoul.co.kr